만성콩팥병 환자의 약 30~50%는 철분 결핍을 동반합니다. 이는 단순한 빈혈 이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철분 부족은 산소 전달 저하, 근육 피로, 삶의 질 저하뿐 아니라, 심부전 악화, 심혈관 사망 위험 증가와도 연관됩니다.
최근 발표된 2025년 Kidney International Reports의 메타분석은, 철분 치료가 단순히 빈혈 교정을 넘어서 심혈관 사건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63세 여성 A씨는 만성콩팥병 3단계로 진단받았고, UACR 상승과 함께 피로, 숨참 증상을 호소했습니다. 빈혈은 없었지만 TSAT 17%, ferritin 80ng/mL로 철분 결핍 상태였고, ferric carboxymaltose 1000mg 정맥 주사를 2주 간격으로 2회 맞은 후 피로와 운동능력 개선을 경험했습니다.
주치의는 심부전 악화 예방 차원에서도 철분 치료를 권유하였고, 이후 6개월간 심부전 입원 없이 안정적으로 외래를 다니고 있습니다.
45개의 무작위 임상시험을 종합한 메타분석 결과, 철분 치료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임상 혜택을 보였습니다:
결과 지표 | 상대위험비 (RR) | 95% 신뢰구간 | 근거 수준 |
---|---|---|---|
심부전 입원 또는 심혈관 사망 | 0.84 | 0.75–0.94 | 중등도 |
심부전 입원 | 0.77 | 0.61–0.96 | 중등도 |
심혈관 사망 | 0.81 | 0.65–1.02 | 낮음 |
심근경색 | 0.66 | 0.50–0.88 | 낮음 |
전체 사망률 | 0.85 | 0.74–0.98 | 낮음 |
심각한 이상반응 발생률 | 0.90 | 0.82–0.98 | 중등도 |
종류: Ferric carboxymaltose, Ferric derisomaltose, Iron sucrose 등
장점: 빠른 보충, 심혈관 효과 입증 (예: AFFIRM-AHF, IRONMAN, PIVOTAL 연구)
적응증: TSAT < 20%, Ferritin < 100–300, ESA 반응 부족, 심부전 동반 시
종류: Ferrous sulfate, Ferric citrate, Ferric maltol 등
장점: 저렴하고 간편, 비침습적
단점: 흡수율 낮고 위장장애 많음
적응증: 경증 결핍, 정맥 접근이 어려운 경우
🔎 Ferric citrate는 비투석 환자에서 투석 시작 위험을 줄인 유일한 경구 제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RR: 0.48).
지표 | 기준 | 비고 |
---|---|---|
TSAT | < 20% | 이때 치료 권장 |
Ferritin | < 100ng/mL (비투석), <300ng/mL (투석) | 염증성 질환 동반 시 고려 |
ESA 사용 시 | 반응 부족 | 철분 동시 보충 필요 |
증상 | 피로, 숨참 등 | 철분 결핍성 심부전 환자 |
“심부전과 CKD는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를 악화시킵니다. 철분 치료는 이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 Neuen B.L., 2025년 메타분석 연구책임자
철분 치료는 CKD 환자에서 심장 보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특히 심부전 병력이 있는 CKD 환자라면 빈혈 유무와 관계없이 적극적인 철분 평가 및 보충이 필요합니다.
정맥 철분은 효과와 안전성에서 우수한 선택이며, 경구 철분 중 ferric citrate는 신장보호 가능성도 제시되었습니다.
📥 참고자료:
제제명 | 투여 경로 | 장점 | 단점 | 주요 사용 예 |
---|---|---|---|---|
페릭 카르복시말토오스 (Injectafer 등) | 정맥 | – 고용량 투여 가능 – 투여 횟수 적음 – 심혈관 보호 연구 있음 | – 고가 – 가려움·저혈압 가능 | 심부전 동반 CKD, ESA 병용 |
페릭 데리스말토오스 (Monofer 등) | 정맥 | – 한번에 1000mg 투여 가능 – 저자극성 | – 고가 – 드물게 알러지 | 빠른 보충 필요 시 |
아이언 수크로오스 (Venofer 등) | 정맥 | – 안정성 높음 – 비교적 저렴 | – 100~200mg씩 나눠 투여 | 투석 중 정기 투여 |
아이언 덱스트란 | 정맥 | – 오래된 제제 – 저렴 | – 아나필락시스 위험 (테스트 필요) | 대체제 필요 시 |
페릭 시트레이트 복합체 (Auryxia 등) | 경구 | – 인산염 제거 기능 겸함 – 신장보호 데이터 있음 | – 위장장애 – 국내 사용 제한적 | 비투석 CKD에서 고려 가능 |
페릭 말톨 (Feraccru 등) | 경구 | – 위장장애 적음 – 복용 편함 | – 고가 – 공급 불안정 | 경구 유지 치료 |
황산제이철 (Ferrous sulfate 등) | 경구 | – 저렴 – 접근성 용이 | – 위장장애, 변비 흔함 | 경증 철분결핍, 단기 복용 |
심부전 등 심혈관 질환 동반 시: 정맥 철분제(특히 페릭 카르복시말토오스) 선호
비투석 환자에서 인 결합 효과: 페릭 시트레이트 복합체 고려
경구 철분 내약성 낮을 경우: 페릭 말톨 또는 정맥제제로 전환
커피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빠질 수 없는 음료입니다. 아침을 깨우고, 집중력을 높이며, 나른한 오후에 활력을 주는…
매일 아침 습관처럼 마시는 커피 한 잔, 단순한 기호식품일 뿐일까요? 최근 호주의 AIBL(Australian Imaging, Biomarkers…
– 빠른 심박수가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 1.…
만성콩팥병이 있는 분들은 몸 안에 염증이 많고, 세포가 쉽게 손상되는 산화 스트레스가 높습니다. 이런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