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체중 측정이 잘못되었습니다.

체중 측정이 잘못되었습니다.

비만측정과 평가를 할 때에 체질량지수가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비만측정 방법에는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허리-엉덩이 비율, 피부 두께 측정, 체성분분석(BIA) 등이 있습니다.

많이 알려진 체중 측정법 – 체질량지수 평가법은 근육량과 지방량을 구분하지 못하고, 나이, 성별, 이종 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있습니다.

리가 보통 체중이 60kg 에 키가 160cm 이면 체질량지수는 23.4 kg/m2 으로 정상소견으로 알지만, 지방이 많고 근육량이 적은 경우는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합니다.


다음의 결과는 이탈리아에서 시행한 연구 입니다.

연구를 담당했던 교수는 ” 체질량지수 만으로 비만을 분류하고, 체성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충분하지 않습니다. 체질량지수는 초기 스크리닝 도구로 사용할 수 있지만, 체지방과 근육의 구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라는 주장을 했습니다.

체중 측정, 체질량지수 평가법의 한계: 체성분을 놓치다

비만이 만성 질환으로 정의되고 과도한 체지방 축적으로 인해 질병, 장애 및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면, “체지방 측정을 기반으로 비만을 식별하는 것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라고 그는 인정하면서도 “대부분의 임상 환경에서는 이를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아, 체질량지수 평가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듀얼 에너지 X선 흡수법 (DXA)과 체질량지수 평가법을 비교하였습니다.

체중

체질량지수 평가법과 체지방비율의 비교그래프

 

위 그래프에서 체질량지수 평가법 (30이상) 에 따라 비만으로 분류된 사람들은 남성은 38%, 여성은 41% 이나 체지방률 기준으로 비만으로 분류된 사람들은 남성은 약 71%, 여성은 약 64% 입니다.

따라서 체질량지수 평가법을 적용하는 데에 있어서 30이상 보다는 27이상으로 기준을 낮추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단일센터의 관찰 연구이고, 이탈리아의 한 지역에서만 수행되었고, 식습관, 신체활동, 수면건강 등의 여러 잠재적 교란 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국내의 몇 연구에서도 체질량지수가 23 – 25 로 정상인 경우도 체지방률이 높은 사람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체지방률 기준으로 비만을 판정했을 때에 체질량지수 평가 기준보다 더 많은 사람이 비만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하게 체지방률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체지방률을 확인할 수 있는 BIA 검사 등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동안 많이 알려진 체질량지수 평가법은 체중 측정에 정확하지 않습니다.  보다 정확한 방법으로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하세요.


야식, 먹지 않으면 허전해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