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스트레스성 궤양의 예방은 어떻게 하나요?

스트레스성 궤양의 예방은 어떻게 하나요?

 

중환자실(ICU)에서 스트레스성 궤양(stress ulcer)은 주요한 관심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트레스성 궤양의 병태생리, 위험 요인, 예방 전략 및 최신 임상 연구(REVISE, SUP-ICU, PEPTIC 등)를 바탕으로, 의료진이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스트레스성 궤양이란?

스트레스성 궤양은 중환자실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위장관 점막 침식 현상입니다. 대개 무증상으로 나타나지만, 약 1.5%에서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성 궤양 출혈은 다음과 같은 상황으로 정의됩니다:

    • 혈압 20mmHg 이상 감소 또는 심박수 20bpm 이상 증가
    • 헤모글로빈 2g/dL 이상 감소 또는 2단위 이상의 혈액 수혈 필요

위험 요인:

    1. 기계적 환기(48시간 이상)
    2. 응고병증
    3. 쇼크
    4. 간경변증

2. 예방 전략: H2 차단제 vs. PPI

H2 차단제:

    • 1998년 NEJM 연구에서는 라니티딘(H2 차단제)이 수크랄페이트보다 출혈 예방에 효과적임을 입증했습니다.
    • 위산 억제를 통해 출혈 위험을 줄이는 한편, 폐렴 발생 가능성은 증가시키지 않았습니다.

PPI:

    • 최근 연구에서는 프로톤펌프억제제(PPI)가 H2 차단제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2024년 REVISE 연구에서는 PPI 사용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출혈 발생률을 70% 이상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1% 대 3.5%, p<0.001).

3. 주요 임상 연구 요약

SUP-ICU (2018):

      • PPI vs. 위약 비교
      • 주요 결과: PPI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출혈을 감소시켰으나, 전체 사망률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PEPTIC (2020):

      • PPI vs. H2 차단제 비교
      • 주요 결과: 두 그룹 간 90일 사망률 차이는 없었으나, PPI 사용 시 출혈률이 더 낮았음

REVISE (2024):

      • PPI vs. 위약 비교
      • 주요 결과: PPI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출혈과 환자 중심 결과(patient-important bleeding)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킴

4. 임상 적용 및 향후 과제

    • 적용: 기계적 환기와 같은 고위험 환자에서 PPI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환자가 중환자실에서 퇴실하거나 기계적 환기가 종료되면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 향후 연구: PPI 사용이 중증 환자에서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중환자실 환자의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은 여전히 중요한 임상 과제입니다. 최근 연구들은 PPI가 고위험 환자에서 출혈을 줄이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줬으나, 적절한 중단 시점과 특정 하위 그룹에서의 위험은 추가 검토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흡인성 폐렴의 발생에 영향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추가 검토가 필요합니다.

혈압을 한번 측정했는데 160/80, 고혈압 치료가 필요할까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