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당뇨병 환자는 어떤 간식을 먹어야 할까요?
👉 혈당을 천천히, 안정적으로 올려주는 간식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알아야 할 두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 GI지수와 GL지수입니다.
📊 GI지수 vs GL지수, 어떻게 다를까요?
용어 | 정의 | 기준 | 당뇨에 미치는 영향 |
---|---|---|---|
GI (Glycemic Index) | 혈당 상승 속도를 수치화한 지표 | 55 이하: 저GI | GI가 낮을수록 혈당이 서서히 상승 |
GL (Glycemic Load) | GI에 음식의 탄수화물 양까지 고려한 실제 혈당 부하 | 10 이하: 저GL | GI보다 더 현실적인 혈당 반응 예측 가능 |
📌 예시:
수박은 GI는 높지만 GL은 낮아 적당량이면 혈당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반면 흰빵은 GI, GL 모두 높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혈당 급등 막는 간식 리스트
아래는 실제 당뇨병 환자에게 권장되는 간식 리스트입니다. 모두 저GI/저GL 식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1. 무가당 요거트 (그릭 요거트 포함)
-
GI: 14~35
-
포인트: 무가당·고단백 제품 선택
-
활용: 견과류, 시나몬, 블루베리 한 줌과 함께 섞어 먹기
-
✅ 예시 제품 표기 확인: “총 당류 5g 이하”, “당류 0g”, “단백질 8g 이상”
🧀 2. 저염 치즈
-
GI: 거의 0
-
단백질과 지방이 포만감을 높여 혈당 안정에 기여
-
주의: 나트륨 100mg 이하 제품 선택
-
✅ 예시: “저염 슬라이스 치즈”, “무염 리코타치즈”
🌰 3. 생 아몬드, 호두, 해바라기씨
-
GI: 15 이하
-
하루 한 줌(약 20~30g) 기준
-
소금/설탕 무첨가 제품 필수
🍠 4. 냉동 고구마
-
GI는 높지만 냉장/냉동 시 저항전분 증가 → GI 낮아짐
-
소량 섭취(80g 이하) 시 혈당 영향 최소화
-
냉동상태 그대로 도시락에 동봉 가능
🍫 5. 다크 초콜릿 (카카오 85% 이상)
-
GL 낮음, 혈당 영향 적음
-
하루 1~2조각(10g 이하) 제한
-
✅ 제품 뒷면 확인: “총 당류 3g 이하”, “카카오매스 85% 이상”
📦 Q. 포장지 뒷면, 어디를 봐야 하나요?
👉 성분표와 영양성분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확인 항목 | 권장 기준 |
---|---|
총 당류 | 5g 이하 |
식이섬유 | 2g 이상 |
탄수화물 | 10g 이하 |
단백질 | 5g 이상 |
나트륨 | 100mg 이하 |
📌 GI/GL 지수는 직접 표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성분 유추가 필요합니다. “정제 탄수화물” “액상과당” 등의 문구가 있으면 피하세요.
🕒 실천 가능한 하루 간식 루틴 (예시)
시간 | 간식 | 혈당 관리 포인트 |
---|---|---|
오전 10시 | 무가당 요거트 + 아몬드 | 아침 식사 후 포만감 연장, GI/GL 낮음 |
오후 3시 | 냉동 고구마 80g + 저염 치즈 | 식이섬유 + 단백질 조합으로 안정된 혈당 유지 |
저녁 후 | 다크 초콜릿 한 조각 + 따뜻한 차 | 야식 대용, 스트레스 완화 효과 |
✨ 마무리 팁
-
✅ GI/GL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하면, 혈당 스파이크 없는 간식 선택이 쉬워집니다.
-
✅ 정제된 과자, 음료, 빵류는 피하고,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포함된 자연식품 위주로 고르세요.
-
✅ 포장 뒷면을 읽는 습관, 당뇨병 관리의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