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가만히 있어도 심장이 자꾸 빨리 뛰어요.”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는 환자들이 병원에서 흔히 호소하는 말입니다.
가벼운 스트레스나 운동 후에 심장이 빨리 뛰는 건 흔한 일이지만, 안정 시에도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높다면 이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니라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CKD 환자에게 있어 **심박수 증가(빈맥, tachycardia)**는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풀어보겠습니다:
안정 심박수가 CKD 환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최근 대규모 연구 결과와 실제 통계
환자 사례를 통한 경각심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맞춤형 건강 관리 팁
**안정 심박수(resting heart rate)**는 휴식 상태에서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정상 범위는 보통 60~100회/분이며, 70~75회가 평균입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심박수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결과가 반복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CKD 환자에게도 예외가 아니며, 최근 일본 후쿠시마 CKD 코호트 연구에서는 그 연관성을 명확히 밝혀냈습니다.
연구 대상: 비투석 CKD 환자 1353명
추적 기간: 4.9년
분석 항목: 심박수와 전체 사망률 및 심혈관 사건 발생률의 관계
심박수 구간:
<70회/분
70~79회/분
80~89회/분
≥90회/분
심박수 80~89회/분: 전체 사망 위험 1.74배 증가
심박수 90회 이상: 사망 위험 2.61배 증가
심박수 80~89회/분: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 1.70배 증가
👉 즉, 정상 범위 내라도 심박수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심혈관 질환 위험은 분명히 증가합니다
65세 남성 B씨는 3기 만성콩팥병 환자로, 평소 특별한 증상은 없었지만, 자주 가슴이 두근거리고 쉽게 피로함을 느꼈습니다.
정기 검진에서 측정된 심박수는 92회/분. 스마트워치를 통해 일상에서 재보면 항상 85~95회 사이였습니다.
의사는 이를 심각하게 보고 베타차단제 처방과 식이 염분 제한, 스트레스 관리를 권했습니다.
6개월 후, B씨의 심박수는 74회/분 수준으로 낮아졌고, 혈압도 안정화되었습니다.
이처럼 ‘피곤해서 그렇겠지’라고 넘긴 증상은, 실제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조용한 경고일 수 있습니다.
높은 심박수는 단지 빠른 박동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생리적 위험 요소를 의미합니다:
| 메커니즘 | 설명 |
|---|---|
| 💢 교감신경 항진 | 심박수 증가 → 혈압 상승 → 혈관 손상 및 부정맥 유발 |
| 🔥 만성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 빠른 심박은 전신 염증을 촉진, 노화 가속화 |
| ⛽ 심장 부담 증가 | 심장이 쉴 틈 없이 일하면서 산소 공급 불균형 유발 |
| ❗ 자율신경계 이상 | 수면장애, 불안, 심근 허혈(산소 부족) 등 유발 가능 |
신장과 심장은 혈압과 혈류를 통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CKD 환자는 고혈압, 빈혈, 체액 과다, 전해질 이상 등의 문제를 동시에 겪으며, 이들은 모두 심장의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CKD가 있는 환자에서 심박수 상승은 심장 기능 저하, 부정맥,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신 양방향 스트레스 반응을 의미합니다.
다음은 CKD 환자가 실천할 수 있는 심박수 안정화 관리법입니다:
| 카테고리 | 실천 전략 |
|---|---|
| 🩺 모니터링 | 혈압계, 스마트워치,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심박수 주기적 기록 |
| 🍽 식이 조절 | 염분 섭취 줄이기 (1일 5g 미만), 수분 과다 섭취 주의 |
| 🏃 운동 습관 | 무리 없는 유산소 운동: 걷기, 자전거, 수영 (주 3회 이상) |
| 😌 스트레스 관리 | 수면 충분히, 명상·복식호흡·요가 등 이완 기법 시도 |
| 💊 약물 치료 | 필요한 경우 베타차단제나 ACEi/ARB 등 복용 고려 |
| 🚫 피해야 할 것들 | 카페인 과다, 흡연, 음주, 감정 기복 큰 생활 습관 |
📌 CKD 환자에게 심박수는 생체 지표 중 하나로 인식해야 함
📌 단순 두근거림으로 넘기지 말고, 빈맥 여부 확인 필요
📌 고심박 환자는 심장기능 평가(EKG, NT-proBNP 등)도 병행 추천
📌 베타차단제 처방 시 eGFR, 전해질 변화 주기적 확인
심박수는 누구나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CKD 환자에게 **빠른 심박수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생존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입니다.
심박수가 높다면, 이는 교감신경 항진, 만성 염증, 심혈관계 부담 증가를 시사합니다.
초기에는 아무 증상이 없어도, 장기적으로는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발생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경각심을 갖고 관리해야 합니다.
Saito H, Tanaka K, et al. (2024). Elevated resting heart rat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Scientific Reports, 14:17372. https://doi.org/10.1038/s41598-024-67970-2​: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