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최근 미국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A(H5N1) 바이러스가 젖소와 가금류를 통해 인간에게 감염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2024년 3월부터 10월까지 46건의 인간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대부분 경미한 증상(결막염, 발열, 가벼운 호흡기 증상)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이 주요 원인이었으며, 개인 보호 장비(PPE) 착용 부족이 감염 위험을 높였습니다. 현재까지 인간 간 전파 증거는 없지만, 바이러스 변이를 감시하고 농장 근로자 보호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1. A(H5N1) 바이러스란?
A(H5N1) 바이러스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의 일종으로, 가금류뿐만 아니라 포유류 및 인간에게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1997년 홍콩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900건 이상의 인간 감염 사례가 발생했으며, **치사율은 약 50%**에 달합니다【5】. 최근에는 미국에서 젖소와 가금류를 통한 인간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5】.
2. 2024년 미국의 A(H5N1) 인간 감염 사례 분석
(1) 감염 경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24년 3월~10월 동안 46명의 인간 감염 사례가 확인되었습니다. 감염된 동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5】.
- 젖소 노출 (25명): 감염된 젖소와의 접촉, 원유 취급
- 가금류 노출 (20명): 감염된 닭과 접촉, 도축 및 폐사 처리 과정
- 감염 경로 불명 (1명): 병원 방문 중 감염된 것으로 추정
(2) 주요 증상
46명의 감염자 중 **93%가 결막염(눈 충혈 및 염증)**을 경험했으며, 발열(49%), 호흡기 증상(36%)도 나타났습니다【5】.
- 결막염: 42명(93%)
- 발열: 22명(49%)
- 기침 및 인후통: 16명(36%)
- 근육통 및 피로: 10명(22%)
- 설사 및 구토: 2명(4%)
대부분 증상은 4일 이내에 사라졌으며, 입원 사례는 없었음【5】.
(3) 예방 조치 및 치료
- 감염자 중 87%가 항바이러스제(오셀타미비르, 타미플루)를 처방받았으며, 평균 복용 기간은 5일【5】.
- 환자 가족 97명을 검사했으나 2차 감염 사례 없음【5】.
그래프 설명
-
(A) 인간 감염 사례
- 감염 경로에 따라 색상 구분:
- 빨간색: 젖소 노출
- 파란색: 가금류 노출
- 회색: 감염 경로 불명
- 2024년 9월부터 10월 사이 젖소와 관련된 인간 감염이 급증했으며, 가금류 관련 감염은 상대적으로 적었음.
- 감염 경로에 따라 색상 구분:
-
(B) 젖소에서의 감염 및 인간 감염 사례
- 젖소에서의 바이러스 검출(연한 갈색)과 인간 감염 발생(진한 갈색)을 함께 표시.
- 2024년 9월부터 10월 사이 젖소에서 바이러스 검출이 급증하면서 인간 감염도 증가.
-
(C) 가금류에서의 감염 및 인간 감염 사례
- 가금류에서의 바이러스 검출(연한 파란색)과 인간 감염 발생(진한 파란색)을 함께 표시.
- 가금류와 관련된 인간 감염 사례는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특정 시점(예: 2024년 7월)에 일시적 급증이 있었음.
3. 감염 사례와 교훈
사례 1: 젖소 농장의 감염 확산
2024년 9월,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젖소 농장에서 A(H5N1)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확산되었습니다. 농장 근로자 4명이 감염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결막염과 발열을 경험했습니다. 보호 장비(PPE) 착용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이후 농장에서는 마스크와 고글 착용을 의무화하였습니다【5】.
사례 2: 가금류 폐사 작업 중 감염
콜로라도주에서 가금류 폐사 작업을 하던 근로자 9명이 A(H5N1)에 감염되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보호 장비 착용이 미흡했고, 이후 결막염과 가벼운 독감 증상을 보였습니다. 보호 장비와 손 위생 관리가 감염 예방에 필수적이라는 교훈을 남겼습니다【5】.
4. A(H5N1) 예방을 위한 실천 팁
(1) 농장 근로자를 위한 예방 조치
✅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최소화
✅ 보호 장비(PPE) 착용: 마스크, 고글, 장갑, 방수 작업복
✅ 손 씻기 및 개인 위생 강화
✅ 원유 및 계란, 가금류는 반드시 가열 조리 후 섭취
(2) 일반인을 위한 예방 조치
✅ 생닭, 생고기, 원유 섭취 금지
✅ 가금류 시장 방문 후 손 씻기 필수
✅ 발열, 기침, 결막염 증상이 있으면 즉시 병원 방문
5. 결론: A(H5N1) 바이러스,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현재 A(H5N1) 바이러스는 인간 간 전파 증거는 없지만, 농장 근로자 및 축산업 종사자는 감염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철저한 위생 관리와 보호 장비 착용이 필수적이며, 가금류 및 원유는 반드시 가열하여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A(H5N1)의 변이를 감시하고, 농장 및 공중보건 시스템에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5】.
참고문헌 (References)
【5】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 2025년 2월 27일,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A(H5N1) Virus Infections in Humans”, DOI: 10.1056/NEJMoa2414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