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고지혈증약물

고지혈증 약을 먹고 있는데 당뇨병이 생겼다고요?

 

고지혈증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고지혈증 약(주로 스타틴 계열의 약물)이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부 고지혈증 약은 당뇨병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스타틴과 당뇨병: 위험의 연관성

스타틴은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 매우 효과적이지만, 특히 고용량 스타틴 복용 시 당뇨병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스타틴을 1~2년 이상 복용할 경우 당뇨병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고용량 사용 시 당뇨병 위험 증가 가능성이 높음.
    •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다른 스타틴과 비교했을 때도 비슷한 경향을 보임.
    • 심바스타틴(Simvastatin): 장기간 복용 시 위험이 상승할 수 있음.
    •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다른 약과 비교해서 당뇨병 발생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음.

이는 스타틴이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을 통해 인슐린 감수성을 낮추거나 간 내 포도당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고지혈증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위험 평가: 스타틴 사용 전에 환자의 당뇨병 발생 위험 요인(가족력, 비만, 공복 혈당 등)을 철저히 평가해야 합니다.
    2. 약물 조절: 가능한 낮은 유효 용량으로 스타틴을 복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고지혈증 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생활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체중 조절은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당 관리 모두에 도움이 됩니다.
    4. 정기적인 모니터링: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조기에 이상 징후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타틴은 심혈관 질환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당뇨병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도 인지해야 합니다.

꼭 필요한 경우에만 복용하도록 하고,  가능한 적정한 용량으로 섭취하고,  개인별 위험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 선택과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응고제를 복용하시나요? 항혈소판제를 복용하시나요?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잠을 잘 자니 혈압이 떨어졌어요” – 수면 개선으로 고혈압을 조절한 70대 환자의 이야기

✅ 진료실 이야기: "잠을 잘 자니, 혈압이 내려갔어요!" 70대 고혈압 환자 A씨는 매년 여름이면 아침…

3일 ago

계속되는 피로감, 콩팥이 보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크레아티닌과 사구체여과율(eGFR)의 중요성

😴 단순한 피로가 아닐 수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철, 누구나 피곤하고 지치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피로가…

4일 ago

무더위 속 밤잠 부족, 콩팥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여름이 되면 많은 분들이 겪는 불청객, 바로 열대야입니다. 해가 져도 25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밤의 기온은…

1주 ago

콩팥병 환자의 여름철 여행, 어떻게 준비할까요

👋 여행, 콩팥병 환자에게도 가능합니다! 여름 휴가철, 콩팥병 환자도 충분히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단,…

2주 ago

콩팥 건강을 위한 여름철 간식 선택법

✅ 여름철 간식 선택 시 주의할 점 항목 주의사항 수분 보충 갈증 해소를 위해 당분이…

2주 ago

저염 고추장: 당뇨병·콩팥병 환자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을까?

고추장 없이 밥을 먹기 어려운 분들 많으시죠?특히 쌈 싸먹을 때, 나물무침할 때, 비빔밥 한 그릇에…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