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과 어지러움, 혈압 133/90mmHg는 **고혈압 전단계(고혈압 1기)**로 분류됩니다. 정상 혈압은 일반적으로 120/80mmHg 미만이며, 고혈압 1기는 수축기 혈압이 130 ~ 139 mmHg 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89mmHg일 때 해당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 및 미국심장협회(AHA)의 기준에 따르면, 130/80mmHg 이상이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혈압 분류 | 수축기 혈압(mmHg) | 이완기 혈압(mmHg) |
---|---|---|
정상 혈압 | <120 | <80 |
고혈압 전단계(1기) | 130~139 | 80~89 |
고혈압 2기 | ≥140 | ≥90 |
고혈압성 위기 | ≥180 | ≥120 |
따라서 현재 혈압 수치는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일주일 동안 지속된 어지러움은 혈압 때문일 수도 있고, 다른 원인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증상 | 가능성 있는 질환 |
심한 두통 또는 시야 장애 | 고혈압성 위기 |
말이 어눌해짐, 혼동, 마비 | 뇌졸중 가능성 |
가슴 통증 또는 숨 가쁨 | 심장 질환 가능성 |
혈압이 180/110mmHg 이상 | 고혈압 응급상황 |
증상 | 가능성 있는 원인 |
일주일 이상 어지러움이 지속됨 | 혈압 변동, 기립성 저혈압, 내이 문제 |
혈압이 지속적으로 130/80mmHg 이상 | 만성 고혈압 가능성 |
피로, 체중 변화, 발한 증가 등 갑상선 증상 동반 | 갑상선 기능 이상 |
약물 부작용이 의심됨 (메티마졸, 혈압약 등) | 약물 반응 또는 부작용 |
미국 심장협회(AHA)의 연구에 따르면, 혈압이 130/90mmHg 이상인 사람들은 정상 혈압(120/80mmHg 이하)인 사람들보다 어지러움을 느낄 확률이 2배 더 높습니다.
✅ 진료실 이야기: "잠을 잘 자니, 혈압이 내려갔어요!" 70대 고혈압 환자 A씨는 매년 여름이면 아침…
😴 단순한 피로가 아닐 수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철, 누구나 피곤하고 지치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피로가…
여름이 되면 많은 분들이 겪는 불청객, 바로 열대야입니다. 해가 져도 25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밤의 기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