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만성콩팥병의 이해와 치료 목표: 만성콩팥병 조기발견 치료

만성콩팥병 조기발견, 만성콩팥병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가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질병 악화를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만성콩팥병의 정의, 진행 단계, 주요 합병증, 그리고 효과적인 관리 목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만성콩팥병 조기발견, 만성콩팥병이란 무엇인가?

만성콩팥병은 신장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질환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면 진단됩니다:

1.알부민뇨:

* 24시간 소변에서 알부민 배설량 ≥30mg (AER ≥30mg/24시간)

*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ACR) ≥30mg/g

2.사구체여과율(GFR):

* GFR <60 mL/min/1.73m²

3.기타 소견:

* 소변 침사 이상, 영상학적 이상, 신 조직학적 이상


만성콩팥병 진행 단계

만성콩팥병은 사구체여과율 수치를 기준으로 5단계로 나뉩니다:

*사구체여과율은 쉽게 생각해서 신장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단계 (사구체여과율 ≥90): 신장 손상이 있으나 GFR 정상

2단계 (사구체여과율 60-89): 경미한 감소

3단계 (사구체여과율 30-59): 중등도 감소

4단계 (사구체여과율 15-29): 중증 감소

5단계 (사구체여과율 <15): 신부전, 신대체요법(투석 또는 이식) 필요


주요 합병증

만성콩팥병은 신장 손상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심혈관 질환: CKD 환자에서 주요 사망 원인.

• 빈혈: 적혈구 생성 감소.

• 미네랄 및 골대사 이상(MBD): 신장의 칼슘 및 인 대사 조절 기능 저하.

• 고혈압: CKD 악화의 주요 원인이자 결과.


만성콩팥병 조기발견, 만성콩팥병 치료 목표

만성콩팥병 치료는 질병 진행을 억제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백뇨 감소:

    • 단백뇨를 <200mg/g로 줄이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 단백뇨는 신장 손상의 지표로, 감소 시 질병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혈압 정상화:

    • 목표 혈압: 130/80mmHg 미만.
    • 고혈압 조절은 CKD 진행을 막는 데 핵심적입니다.

질병 악화 속도 지연:

    • 사구체여과율 감소 속도를 완만하게 유지.
    • 생활습관 개선 및 약물 치료 병행.

만성콩팥병 관리의 근거

만성콩팥병 치료의 목표와 전략은 다음 연구들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KDIGO 2012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 만성콩팥병 의 정의, 분류, 관리에 대한 국제 기준을 제시.
    • 알부민뇨와 사구체여과율을 만성콩팥병 진행의 핵심 지표로 강조. (Kidney International Supplements, 2013)

Ruggenenti et al., 2001:

    • 단백뇨 감소를 위한 안지오텐신억제제/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병용 치료의 효과 검증.
    • 단백뇨 감소가 만성콩팥병 진행 억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확인. (Lancet, 2001)

Bakris et al., 2021:

    •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혈압 조절의 중요성 논의.
    • 130/80mmHg 미만의 목표가 심혈관 사건 및 만성콩팥병 진행 억제에 효과적임을 입증. (Kidney International Supplements, 2021)

만성콩팥병 조기발견

만성콩팥병은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관리가 중요한 만성 질환입니다. 알부민뇨와 사구체여과율을 모니터링하며, 단백뇨 감소, 혈압 조절, 질병 악화 방지를 목표로 한 치료가 핵심입니다.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체계적인 관리로 만성콩팥병 환자분들이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만성콩팥병 여부 확인
  • 만성콩팥병 현재 상태 확인 – 사구체여과율/단백뇨/혈압/합병증
  • 만성콩팥병 치료목표 확인
  • 만성콩팥병 건강습관 확인 – 체중/식사/운동

만성콩팥병병의 효과적인 관리 전략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당뇨병에 좋은 음료 vs 피해야 할 음료, 무엇이 다를까?

당뇨병 환자에게는 매끼 식사만큼이나 ‘음료 선택’이 중요합니다. 마시기 쉬워서 간과되기 쉽지만, 한 잔의 음료가 혈당을…

2일 ago

한국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 7만 명 분석으로 본 생존율과의 관계

혈압 조절은 만성콩팥병(CKD)과 혈액투석 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인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얼마일까요?…

4일 ago

스타틴, 오해와 진실: 간 손상? 근육통? 당뇨? 고령자 사용?

“고지혈증 약 먹고 나서 간이 안 좋아졌어요.”“근육이 아픈데, 혹시 스타틴 때문 아닐까요?”“스타틴 먹으면 당뇨 생긴다는데,…

5일 ago

“잠이 부족하면 혈압이 오른다?” – 수면시간과 고혈압의 놀라운 연관성

“수면 부족은 단순히 피곤함의 문제가 아니라, 심장과 혈관 건강에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 왜 수면이 고혈압과…

6일 ago

HDL 콜레스테롤이 높아도 위험할 수 있다? 당뇨병성 콩팥병증과의 관계

HDL 콜레스테롤, 항상 좋은 걸까?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7일 ago

데노수맙(프롤리아) 사용 시 투석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저칼슘혈증: 원인, 사례, 예방법

데노수맙(프롤리아)이란 무엇인가요? **데노수맙(프롤리아®, Prolia®)**은 뼈를 분해하는 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억제하는 RANKL 억제제입니다. 이 약물은 다음과…

1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