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만성콩팥병의 인식, 발견 및 치료에 대한 개인의 시각

만성콩팥병의 인식, 발견 및 치료에 대한 개인의 시각

만성콩팥병(CKD) 고위험군 요약: 누가 조기 발견 검사를 받아야 하는가?

  • 당뇨병 환자
  • 고혈압 환자
  • 심혈관 질환(CVD) 환자
  • 콩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
  • 급성 신장 손상(AKI) 경험자
  • 임신중독증(전자간증) 또는 임신 관련 신장 손상 경험자
  • 비만 및 대사증후군 환자
  • 만성 소염진통제(NSAIDs) 사용 환자


1. 서론: 만성콩팥병의 중요성

최근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한 여러 국제 보건기구에서 만성콩팥병(CKD)의 조기 발견 및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만성콩팥병은 전 세계 인구의 약 10%, 즉 7억 명 이상에게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소득 국가(LICs)와 중하위 소득 국가(LMICs)에서 그 부담이 현저합니다. 전체 만성콩팥병 환자의 약 80%가 LICs 및 LMICs에 거주하며, 이 중 중국과 인도에만 전 세계 환자의 약 1/3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만성콩팥병의 유병률은 지난 1990년에서 2017년 사이에 33% 증가했으며, 이는 인구 증가, 고령화, 비만의 유행으로 인해 당뇨병과 고혈압 같은 주요 위험 인자의 유병률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임신 관련 급성 콩팥 손상, 미숙아 출산, 환경적 요인(감염, 독소, 기후 변화 등) 역시 만성콩팥병 부담을 높이는 주요 요소입니다.

2. 만성콩팥병 조기 발견이 필요한 경우

2.1. 만성콩팥병 고위험군

만성콩팥병 조기 발견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이 아니라, 특히 위험이 높은 특정 그룹에게 집중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대표적인 고위험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당뇨병 환자: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 콩팥 손상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고혈압 환자: 높은 혈압이 지속될 경우 콩팥에 부담을 주어 만성콩팥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심혈관 질환 환자: 만성콩팥병과 심혈관 질환은 상호 연관성이 높아 동반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
  • 가족력: APOL1 유전자 변이를 보유한 서아프리카계 후손 등 유전적 요인이 있는 경우 만성콩팥병 위험이 높습니다.
  • 급성 콩팥 손상 경험자: 과거에 급성 콩팥 손상(AKI)을 겪었던 환자는 만성콩팥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임신중독증 및 임신 관련 콩팥 손상: 임신으로 인해 콩팥이 손상된 여성은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3. 만성콩팥병 조기 발견 방법과 유용한 팁

3.1. 검사 방법

콩팥 건강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있습니다.

  • 혈압 측정: 고혈압은 만성콩팥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므로 정기적인 혈압 체크가 필수적입니다.
  • 체질량지수(BMI) 평가: 비만은 콩팥 부담을 증가시키며, 당뇨와 연관되어 만성콩팥병 위험을 높입니다.
  • 당화혈색소(HbA1c) 검사: 당뇨병이 있는 경우 콩팥 건강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 콩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합니다.
  •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uACR) 검사: 콩팥 손상을 조기에 감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3.2. 만성콩팥병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관리

  • 건강한 식단 유지: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콩팥에 좋은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합니다.
  • 적절한 수분 섭취: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이 콩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 운동과 신체 활동: 규칙적인 운동은 혈압과 혈당을 조절하여 만성콩팥병 위험을 낮춥니다.
  • 약물 복용 주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남용을 피하고, 콩팥에 해가 될 수 있는 약물을 신중하게 복용해야 합니다.

4. Box 1: 만성콩팥병의 인식, 발견 및 치료에 대한 개인의 시각

“의사에게 충분한 설명을 들은 적이 없어 내가 어떤 병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신장 건강 관련 질문에 대한 답을 들었지만, 모든 설명이 너무 어려운 용어로 이루어져 있었다.”

“내 콩팥 건강 상태를 명확히 알지 못해 가족이나 지인과 공유하기 어려웠다.”

“소변 검사를 받았지만, 결과가 어떤 의미인지 명확히 이해하지 못했다.”

“처음에는 만성콩팥병 진단이 걱정스러웠지만, 이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주치의와 상담하고 건강 관리를 시작했다.”

5. 참고문헌

  • Vassalotti, J. A., Francis, A., Soares dos Santos Jr, A. C., et al. (2025). “Are Your Kidneys Ok? Detect Early to Protect Kidney Health.” Kidney International Reports, 10(3), 629–636. https://doi.org/10.1016/j.ekir.2025.01.033

신장 기증 후 신장기능 저하 위험과 기증자 관리법에 대한 종합 안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