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이 연구가 주목받는가
그동안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 는 주로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및 신장 보호 효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Kidney International Reports 에 실린 ADAPT 연구는 전혀 다른 대상, 즉 비당뇨병성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 환자, 그것도 4기(중증) 환자에게서 이 약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직접 검증했습니다.
그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단 1~6주라는 짧은 기간의 치료만으로도 단백뇨가 줄고, 사구체 과여과(glomerular hyperfiltration) 가 완화되었습니다.
게다가 약을 중단하면 이런 변화는 완전히 되돌아왔습니다.
즉, 신장을 보호하는 가역적이고 생리적인 변화라는 의미입니다.
2. 연구 개요 — ADAPT 연구란?
| 구분 | 내용 |
|---|---|
| 연구 디자인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교차 임상시험 |
| 연구 장소 | 이탈리아 마리오 네그리 연구소 |
| 대상 | 비당뇨병, 4기 CKD(eGFR 15~30 mL/min/1.73m²), 단백뇨 > 0.5g/24h |
| 투여 약제 | 다파글리플로진 10mg/일 |
| 기간 | 6주 (중간에 교차 및 세척 기간 포함) |
| 주요 평가 항목 | 사구체여과율(GFR) 변화, 24시간 단백뇨 변화 |
| 환자 수 | 31명 |
이 연구의 장점은 교차 설계(cross-over) 입니다.
즉, 모든 환자가 다파글리플로진과 위약을 모두 복용해보므로, 자신이 자신의 대조군이 됩니다.
이 덕분에 환자 간 편차가 줄고, 작은 표본으로도 정확한 비교가 가능했습니다.
3. 6주 만에 나타난 주요 결과
① 사구체여과율(GFR) 변화
-
다파글리플로진 사용 1주 후부터 GFR이 평균 약 1.9 mL/min/1.73m² 감소.
-
그러나 중단 후 GFR은 완전히 회복됨.
→ 즉, 일시적이고 가역적인 변화, 신기능 저하가 아니라 사구체 압력 완화로 해석됨.
② 단백뇨 및 알부민뇨 감소
-
단백뇨가 평균 0.5 g/일 감소 (위약 대비 유의함).
-
혈청 알부민은 오히려 상승.
→ 신장 여과막의 단백질 누출이 줄고, 혈액 단백질 유지가 개선된 것으로 보임.
③ 혈류역학적 변화
-
다파글리플로진은 사구체 ‘출구’ 혈관(후사구체) 을 확장시켜 과여과를 줄이는 기전을 보였습니다.
-
기존의 “입구 혈관 수축(pre-glomerular constriction)” 가설보다 더 정밀한 설명을 제시한 것입니다.
4. 기존 연구들과 무엇이 다른가
| 연구명 | 주요 대상 | 기간 | 주요 결과 |
|---|---|---|---|
| DAPA-CKD (NEJM, 2020) | 당뇨 포함/비당뇨 포함 CKD | 약 2.4년 | 신기능 악화·투석·사망 위험 39% 감소 |
| EMPA-KIDNEY (NEJM, 2023) | 약 50% 비당뇨 CKD | 약 2년 | 신장 및 심혈관 사망 위험 28% 감소 |
| DIAMOND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20) | 비당뇨 CKD | 6주 | 단백뇨 감소 불분명, 가역적 GFR 변화 관찰 |
| ADAPT (Kidney Int Rep, 2025) | 비당뇨 CKD 4기 | 6주 | 단백뇨 감소, 과여과 완화, 가역적 GFR 변화 명확히 확인 |
즉,
-
DAPA-CKD와 EMPA-KIDNEY는 장기간 추적을 통해 SGLT2 억제제가 신부전과 사망을 줄이는 장기 혜택을 입증한 연구이고,
-
ADAPT는 그보다 훨씬 짧은 기간(단 6주) 에서 실제로 신장에서 일어나는 즉각적 변화를 병태생리 수준에서 관찰했습니다.
5. 다파글리플로진의 작용 기전, 다시 보기
기존에는 “사구체 입구 혈관을 수축시켜 과여과를 줄인다”는 설명이 널리 쓰였습니다.
하지만 ADAPT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는
-
출구(후사구체) 혈관이 확장되며
-
사구체 내 압력과 여과분율이 낮아지는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이 현상은
-
단백뇨 감소,
-
여과막 손상 완화,
-
사구체 스트레스 감소
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신장 기능의 보존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6. 임상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나
● 비당뇨 환자에게도 신장 보호 효과
당뇨가 없어도, 남은 사구체가 과하게 일하는 “보상성 과여과 상태”가 생기면 결국 신장이 더 빨리 망가집니다.
ADAPT는 다파글리플로진이 이 과여과를 완화시켜 ‘남은 신장’을 보호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 GFR 일시적 감소는 “나쁜 신호”가 아니다
SGLT2 억제제 복용 초기에 크레아티닌이 약간 오르거나 eGFR이 떨어지는 현상은 신장 손상이 아니라, 과여과 완화의 표시로 해석해야 합니다.
● RAS 억제제와의 병용 효과
대상자의 대부분(90% 이상)이 ACE억제제 또는 ARB를 복용 중이었는데,
그 위에 다파글리플로진을 더하자 단백뇨 감소 효과가 추가되었습니다.
즉, RAAS 억제 + SGLT2 억제의 시너지가 존재합니다.
7. 안전성
-
심각한 부작용은 전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저혈당은 드물었고, 대부분 위약군에서 비슷한 빈도로 발생했습니다.
-
전해질 이상, 요로감염, 탈수 등도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비당뇨병·중증 CKD 환자에서도 단기 사용의 안전성이 확인되었습니다.
8. 환자에게 어떤 메시지를 줄 수 있나
-
“당뇨약”이라고 해서 당뇨병 환자만 쓰는 것은 아니다.
→ 신장 보호 목적의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 -
단백뇨가 남아 있는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
→ ACEi/ARB만으로 부족할 때, 추가 옵션이 될 수 있다. -
초기 크레아티닌 상승은 정상적인 치료 반응이다.
→ 불필요한 중단은 피해야 한다.
9. 한 줄 요약
“다파글리플로진은 당뇨병이 없어도 신장을 보호한다.”
단 6주 만에 단백뇨 감소와 사구체 과여과 완화를 보인 ADAPT 연구는,
SGLT2 억제제가 ‘혈당강하제’를 넘어선 신장보호제임을 다시 한 번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