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소변검사에서 자꾸 요단백이 검출되네요 무슨 병이 있는걸까요?

소변검사에서 자꾸 요단백이 검출되네요 무슨 병이 있는걸까요?

Q) 건강검진에서 소변검사에서 자꾸 요단백이 검출되네요 이경우 무슨 병이 있는걸까요


소변검사에서 요단백(단백뇨)이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신장 질환의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요단백은 신장의 사구체(필터 역할을 하는 조직)가 손상되거나, 소변으로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신장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암시할 수 있지만, 반드시 심각한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1. 요단백의 원인

요단백 검출은 일시적인 요단백지속적인 요단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시적인 요단백

건강한 사람에게도 특정 조건에서 단백뇨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심한 운동
    • 발열 또는 감염
    • 스트레스가 극심할 때
    • 탈수 상태일 때

이 경우, 원인이 해결되면 요단백이 사라집니다.

(2) 지속적인 요단백

지속적으로 단백뇨가 나타난다면 신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요단백 관련 주요 질환

요단백 검출은 다양한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그 주요 원인들입니다:

(1) 만성 신장질환 (CKD)

    • 신장의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는 상태.
    • 주된 원인:
      • 당뇨병성 신병증
      • 고혈압성 신증
      • 만성 사구체신염
    • 증상: 단백뇨, 부종, 피로, 고혈압

(2) 사구체 신염 (Glomerulonephritis)

    • 신장의 사구체가 손상되는 질환.
    • 원인: 자가면역 질환(루푸스), 감염 후 발생, IgA 신증 등.
    • 증상: 단백뇨, 혈뇨, 부종(특히 눈 주위와 다리), 고혈압.

(3) 신증후군 (Nephrotic Syndrome)

    • 대량의 단백뇨(일일 3.5g 이상), 저알부민혈증, 부종이 특징.
    • 원인: 초점성 사구체 경화증(FSGS), 미세변화 신증(MCD), 막성신병증(MGN) 등.
    • 증상: 전신 부종, 고지혈증, 심한 피로.

(4) IgA 신증

    • IgA 항체가 신장 사구체에 침착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자가면역 질환.
    • 증상: 간헐적 혈뇨(특히 감염 후), 단백뇨, 고혈압.

(5) 당뇨병성 신증

    •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사구체가 손상되어 단백뇨가 발생.
    •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없고, 점차 단백뇨 증가 및 신기능 저하.

(6) 고혈압성 신증

    • 고혈압으로 인해 신장의 혈관과 사구체가 손상됨.
    • 증상: 단백뇨, 고혈압 악화, 신기능 저하.

(7) 다발성 골수종 (Multiple Myeloma)

    • 혈액암의 일종으로 비정상 단백질(벤스-존스 단백)이 소변으로 배출됨.
    •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며, 단백뇨가 있지만 암이 원인인지 확인하려면 혈액 및 소변 단백 전기영동 검사가 필요.

(8) 약물 또는 독소로 인한 신장 손상

    • 특정 약물(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항생제), 중금속 노출 등이 원인.
    • 증상: 단백뇨와 함께 신기능 감소.

3. 요단백 지속될 경우 권장 검진

단백뇨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아래 검사를 추천드립니다:

(1) 24시간 소변 단백 검사

    • 소변 내 단백질의 정확한 양을 측정.

(2) 소변 단백/크레아티닌 비율 (PCR)

    • 간단한 소변 검사를 통해 신장의 단백 배출 상태를 평가.

(3) 혈액 검사

    • 신장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크레아티닌, GFR, BUN 검사.
    • 만성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당화혈색소(HbA1c), 지질 검사 등.

(4) 신장 초음파

    • 신장의 구조적 이상(예: 낭종, 종양, 신장 크기)을 확인.

(5) 신장 조직검사 (Biopsy)

    • 단백뇨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을 때, 조직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

4. 요단백이 암을 의미하나요?

대부분의 경우 요단백은 암과 관련이 없습니다.  암은 소변에서 혈뇨, 비정상 세포 등이 검출되는 경우 의심할 수 있으며, 단백뇨 단독으로는 암의 신호가 아닙니다만, 혈액암의 경우에는 요단백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5. 요단백 관리 및 치료

    • 신장내과 의사와 상의하여 원인 질환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단백뇨의 원인에 따라 혈압 조절, 염분 섭취 제한, 약물 치료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생활 습관 개선:
      • 염분 제한 (하루 2~3g 이하)
      • 체중 조절
      • 충분한 수분 섭취

지속적인 요단백 검출은 무시하지 말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신장 건강을 관리하시길 권장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콩팥 기능이 얼마나 빨리 나빠지나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