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미분류

엔도텔린-1, IgA 신병증: 병리 기전과 치료적 접근

1. 엔도텔린-1(ET-1)이란?

엔도텔린-1 (Endothelin-1, ET-1)은 신체에서 가장 강력한 혈관 수축제로 알려진 물질로, 신장 혈관 내피세포, 사구체 세포, 세뇨관 세포에서 생성됩니다. ET-1은 엔도텔린 A (ETA) 수용체엔도텔린 B (ETB)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하며, 만성 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및 IgA 신병증과 같은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ETA 수용체의 과활성화는 신장 손상을 가속화하며, 최근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2. IgA 신병증과 엔도텔린-1의 병리 기전

(1) IgA 신병증 개요

IgA 신병증은 가장 흔한 원발성 사구체 질환으로,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이 사구체에 IgA 면역복합체 침착을 유도하여 만성 염증과 섬유화를 유발합니다. 이 과정에서 엔도텔린-1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신장 손상을 촉진합니다.

(2) ET-1과 IgA 신병증의 병리적 연관성

✅ 사구체 손상 및 단백뇨 증가

  • ET-1이 ETA 수용체에 결합하면 사구체 내피세포 및 족세포(podocyte)의 손상이 발생하여 단백뇨가 심해집니다.
  • 사구체 내 혈류 역학 변화: ET-1은 사구체 혈관을 수축시키고, 사구체 모세혈관 내압을 증가시켜 추가적인 손상을 유발합니다.

✅ 염증 반응 촉진

  • ET-1은 사구체 및 세뇨관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6 등)의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 면역세포(대식세포, 단핵구)의 침윤을 유도하여 만성 염증을 유발합니다.

✅ 섬유화(Fibrosis) 촉진

  • ET-1은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신호를 활성화하여 사구체와 세뇨관의 섬유화를 유도합니다.
  • 세뇨관 간질(interstitium)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며, 신장의 경화(sclerosis) 진행을 가속화합니다.

3. 만성 신장질환(CKD)에서 엔도텔린-1 발현 증가의 원인

CKD에서는 염증, 고혈압, 산화 스트레스, 신장 내 저산소증(ischemia) 등의 병리적 변화가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ET-1 발현이 증가합니다.

(1) 염증과 면역 반응 증가

  • 사구체 및 세뇨관 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TNF-α, IL-6, TGF-β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분비됩니다.
  • TGF-β는 ET-1 발현을 촉진하여 신장 섬유화를 가속화하는 악순환을 형성합니다.

(2) 고혈압 및 혈역학적 변화

  • **사구체 고혈압(glomerular hypertension)**으로 인해 내피세포에서 ET-1 분비가 증가합니다.
  •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활성화는 안지오텐신 II(Ang II) 생성을 증가시키고, Ang II는 ET-1 발현을 촉진합니다.

(3) 산화 스트레스 증가

  • CKD에서는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증가하면서 ET-1 유전자 발현을 촉진합니다.
  • NF-κB 같은 전사 인자가 활성화되면서 ET-1 합성이 증가합니다.

(4) 신장 저산소증(hypoxia)

  • CKD에서 신장 조직 내 산소 공급이 감소하면 **HIF-1α(hypoxia-inducible factor-1α)**가 활성화되어 ET-1 유전자 전사를 촉진합니다.

4. ETA 수용체 차단제(Atrasentan)의 치료 효과

ETA 수용체 차단제는 ET-1이 ETA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여 다음과 같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백뇨 감소

  • 사구체 투과성이 정상화되면서 단백뇨가 감소합니다.

✅ 염증 억제

  •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가 줄어들어 면역세포 유입이 감소합니다.

✅ 섬유화 예방

  • TGF-β 신호 억제로 신장 섬유화 진행을 억제합니다.

✅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

  • 신장 내 혈압 조절로 추가적인 사구체 손상을 방지합니다.

5. 참고 문헌

  1. Heerspink, H. J. L., et al. “Atrasentan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N Engl J Med, 2025;392:544-554.
  2. Kohan, D. E., & Barton, M. “Endothelin and endothelin antagonists in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2014;86:896-904.
  3. Wyatt, R. J., & Julian, B. A. “IgA nephropathy.” N Engl J Med, 2013;368:2402-2414.

미역 효능, 주의사항: 당뇨병, 고혈압, 만성콩팥병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맥주와 혈당: 당뇨 환자가 꼭 알아야 할 사실

여름철 시원한 맥주 한 잔은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이지만, 당뇨병 환자에게는 혈당 관리에 있어 생각보다 복잡한…

11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비타민C 복용 가이드: 득과 실

비타민C는 대표적인 항산화 영양소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면역력 강화, 피로 회복, 피부 건강 개선 등…

12시간 ago

오젬픽(Ozempic), 콩팥병과 심혈관 사망 위험까지 줄인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동반되는 만성콩팥병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입니다. 최근…

17시간 ago

알포트증후군, 언제 의심해야 할까? – 한국 설문조사 결과와 임상 팁

알포트증후군(Alport syndrome, AS)은 유전성 신질환으로, 흔히 혈뇨로 시작해 단백뇨, 신기능 저하로 진행하며, 일부에서는 청력 저하와…

2일 ago

당뇨병성 신장질환 새 진행기전: 장내세균총 펩타이드 ‘코리신’의 역할

당뇨병성 신장질환(DKD, Diabetic Kidney Disease)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만성 합병증으로, 말기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2일 ago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과 콩팥병: 미래 세대를 위한 경고 신호

최근 소아·청소년 비만율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면서,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과 그에 따른 만성콩팥병 위험이 중요한 문제로…

1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