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고혈압

카그릴린타이드–세마글루타이드 병용요법: 비만과 당뇨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가능성

비만과 당뇨병의 악순환

비만은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당뇨병 환자의 9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입니다.

체중 감량은 혈당 조절뿐 아니라 합병증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식이·운동 요법만으로는 장기적인 관리가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체중과 혈당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신약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년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발표된 REDEFINE 2 임상시험

새로운 병용요법인 카그릴린타이드–세마글루타이드(CagriSema)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했습니다.


카그릴린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 어떻게 다른가?

  •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주 1회 피하 주사하는 GLP-1 수용체 작용제. 식욕 억제, 인슐린 분비 촉진, 혈당 조절에 효과적.

  • 카그릴린타이드(Cagrilintide): 장시간 작용하는 아밀린 유사체. 뇌의 식욕 조절 신호를 조절해 음식 섭취를 줄이고 체중을 감소시킴.

  • 병용의 의미: 서로 다른 기전을 가진 약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더 큰 체중 감소와 혈당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


REDEFINE 2 연구 개요

  • 연구 설계: 12개국, 제2형 당뇨병과 BMI ≥27인 환자 1206명, 68주간 무작위·이중맹검·위약대조 임상시험.

  • 치료군: 카그릴린타이드 2.4mg + 세마글루타이드 2.4mg 주 1회 vs 위약.

  • 평가 항목:

    • 1차 평가: 체중 변화율, 5% 이상 체중감량 달성률.

    • 2차 평가: HbA1c 변화, 허리둘레, 혈압, 삶의 질 점수 등.


주요 결과

체중 감소 효과

  • 치료군 평균 체중 감소: -13.7%

  • 위약군 평균 체중 감소: -3.4%

  • 83.6%의 환자가 5% 이상 체중 감량 성공(위약군 30.8%).

  • 20% 이상 체중 감량도 22.9%에서 달성.

혈당 조절 효과

  • HbA1c 감소: -1.8% (위약 -0.4%).

  • 치료군의 73.5%가 HbA1c ≤ 6.5% 달성(위약 15.9%).

  • 연속혈당측정(CGM) 서브그룹에서 목표 혈당 범위(70~180mg/dL) 내 체류 시간 43.6% → 86.8%로 증가.

심혈관·대사적 이점

  • 수축기 혈압: 평균 -6.5mmHg 감소.

  • 허리둘레: -11.9cm 감소.

  • 신체 기능 점수와 삶의 질 척도도 유의하게 개선.


안전성

  • 가장 흔한 부작용: 위장관 증상(오심, 구토, 설사, 변비)

    • 치료군: 72.5% vs 위약군: 34.4%.

    • 대부분 경미하고 일시적.

  • 중대한 이상반응: 치료군 10.4%, 위약군 12.9% (큰 차이 없음).

  • 저혈당은 드물게 발생했으며, 주로 설폰요소제 병용 환자에서 보고됨.


임상적 의미와 전망

카그릴린타이드–세마글루타이드 병용요법은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을 동시에 가진 환자에서 체중 감량과 혈당 조절 모두에서 강력한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기존 GLP-1 단독요법보다 우수한 결과로, 향후 비만·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옵션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장기적인 안전성과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비용·접근성 문제, 다양한 인종군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번 REDEFINE 2 연구는 카그릴린타이드–세마글루타이드 병용요법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관리와 혈당 조절에 획기적인 개선 효과를 보임을 확인했습니다. 향후 임상 적용 시,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사용할 경우 더욱 강력한 치료 효과가 기대됩니다.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0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2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3일 ago

고령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공유의사결정: ‘생존’보다 ‘피로 없는 삶’을 선택하는 이유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