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콩팥병

콩팥 기능이 얼마나 빨리 나빠지나요?

콩팥 기능의 감소, 콩팥병 종류와 단백뇨에 따른 사구체여과율(GFR) 감소율

콩팥 기능의 감소, 콩팥병(CKD)의 진행 속도는 질환의 원인과 단백뇨의 심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를 이해하면 환자별 맞춤형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 콩팥병 종류에 따른 사구체여과율 감소율

콩팥병의 원인에 따라 연간 사구체여과율 감소 속도가 차이가 있습니다:

사구체여과율은 혈액검사로 확인한 혈청크레아티닌을 통해 추정 공식을 통해 계산하게 됩니다.

    • 당뇨병성 신증: 연간 GFR 감소율이 평균 5-10 mL/min/1.73m²로 매우 빠릅니다. 이는 고혈당으로 인한 콩팥 손상이 주요 원인입니다.
    • 고혈압성 신증: 연간 GFR 감소율은 평균 2-5 mL/min/1.73m²로, 적절한 혈압 관리로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 사구체신염: 질환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연간 1-4 mL/min/1.73m²의 감소가 일반적입니다.
    • 다낭성 신질환: 낭종의 크기와 수에 따라 감소율이 연간 1-3 mL/min/1.73m²로 비교적 완만한 편입니다.

2. 콩팥 기능 감소, 단백뇨 정도에 따른 사구체여과율 감소율

단백뇨는 콩팥병 진행의 강력한 예측 지표입니다:

    • 정상 단백뇨 (<150 mg/g): GFR 감소율이 거의 없거나 연간 <1 mL/min/1.73m²로 안정적입니다.
    • 경증 단백뇨 (150-500 mg/g): 연간 1-3 mL/min/1.73m²의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중증 단백뇨 (>500 mg/g): 연간 5-10 mL/min/1.73m² 이상 감소할 수 있으며, 진행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단백뇨 정도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 감소율, 단백뇨가 많을 수록 사구체 여과율이 빨리 감소됩니다. 정상 사구체여과율은 90이상, 단백뇨는 음성의 결과로 나와야 합니다. 사구체여과율 확인을 위해서 혈액검사를 해야하고, 단백뇨 확인을 위해서 소변검사를 해야 합니다.

아무리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아요. 만성피로 원인은?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신장에 좋은 영양제 있을까?” –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NR과 Q10 이야기

만성콩팥병이 있는 분들은 몸 안에 염증이 많고, 세포가 쉽게 손상되는 산화 스트레스가 높습니다. 이런 문제를…

7시간 ago

당뇨병에 좋은 음료 vs 피해야 할 음료, 무엇이 다를까?

당뇨병 환자에게는 매끼 식사만큼이나 ‘음료 선택’이 중요합니다. 마시기 쉬워서 간과되기 쉽지만, 한 잔의 음료가 혈당을…

3일 ago

한국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 7만 명 분석으로 본 생존율과의 관계

혈압 조절은 만성콩팥병(CKD)과 혈액투석 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인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얼마일까요?…

5일 ago

스타틴, 오해와 진실: 간 손상? 근육통? 당뇨? 고령자 사용?

“고지혈증 약 먹고 나서 간이 안 좋아졌어요.”“근육이 아픈데, 혹시 스타틴 때문 아닐까요?”“스타틴 먹으면 당뇨 생긴다는데,…

6일 ago

“잠이 부족하면 혈압이 오른다?” – 수면시간과 고혈압의 놀라운 연관성

“수면 부족은 단순히 피곤함의 문제가 아니라, 심장과 혈관 건강에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 왜 수면이 고혈압과…

7일 ago

HDL 콜레스테롤이 높아도 위험할 수 있다? 당뇨병성 콩팥병증과의 관계

HDL 콜레스테롤, 항상 좋은 걸까?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1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