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콩팥병

콩팥 기능이 얼마나 빨리 나빠지나요?

콩팥 기능의 감소, 콩팥병 종류와 단백뇨에 따른 사구체여과율(GFR) 감소율

콩팥 기능의 감소, 콩팥병(CKD)의 진행 속도는 질환의 원인과 단백뇨의 심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를 이해하면 환자별 맞춤형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 콩팥병 종류에 따른 사구체여과율 감소율

콩팥병의 원인에 따라 연간 사구체여과율 감소 속도가 차이가 있습니다:

사구체여과율은 혈액검사로 확인한 혈청크레아티닌을 통해 추정 공식을 통해 계산하게 됩니다.

    • 당뇨병성 신증: 연간 GFR 감소율이 평균 5-10 mL/min/1.73m²로 매우 빠릅니다. 이는 고혈당으로 인한 콩팥 손상이 주요 원인입니다.
    • 고혈압성 신증: 연간 GFR 감소율은 평균 2-5 mL/min/1.73m²로, 적절한 혈압 관리로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 사구체신염: 질환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연간 1-4 mL/min/1.73m²의 감소가 일반적입니다.
    • 다낭성 신질환: 낭종의 크기와 수에 따라 감소율이 연간 1-3 mL/min/1.73m²로 비교적 완만한 편입니다.

2. 콩팥 기능 감소, 단백뇨 정도에 따른 사구체여과율 감소율

단백뇨는 콩팥병 진행의 강력한 예측 지표입니다:

    • 정상 단백뇨 (<150 mg/g): GFR 감소율이 거의 없거나 연간 <1 mL/min/1.73m²로 안정적입니다.
    • 경증 단백뇨 (150-500 mg/g): 연간 1-3 mL/min/1.73m²의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중증 단백뇨 (>500 mg/g): 연간 5-10 mL/min/1.73m² 이상 감소할 수 있으며, 진행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단백뇨 정도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 감소율, 단백뇨가 많을 수록 사구체 여과율이 빨리 감소됩니다. 정상 사구체여과율은 90이상, 단백뇨는 음성의 결과로 나와야 합니다. 사구체여과율 확인을 위해서 혈액검사를 해야하고, 단백뇨 확인을 위해서 소변검사를 해야 합니다.

아무리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아요. 만성피로 원인은?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1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2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3일 ago

고령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공유의사결정: ‘생존’보다 ‘피로 없는 삶’을 선택하는 이유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