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조절은 만성콩팥병(CKD)과 혈액투석 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인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얼마일까요? 2025년 발표된 7만 명 대상의 대규모 연구를 통해 생존율과 관련된 혈압 범위가 제시되었습니다.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의료진 모두가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소개합니다.
🔎 왜 혈압 조절이 중요한가?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고혈압은 콩팥 기능 저하,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 증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게는 더더욱 혈압 관리가 중요합니다. 실제로 한국 혈액투석 환자의 약 75~90%는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이들의 혈압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혈압과 사망률: 7만 명 데이터가 보여준 사실
2025년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에 발표된 연구(Kim et al.)에서는 한국 혈액투석 환자 7만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축기혈압(SBP)**이 **이완기혈압(DBP)**보다 전체 및 심혈관 사망률과 더 강하게 연관됨.
-
SBP 120~140 mmHg 사이가 가장 낮은 사망률을 보임.
-
SBP가 180 mmHg 이상이거나 120 mmHg 이하일 경우 사망 위험이 증가.
-
특히 70세 미만이거나 비당뇨 환자에서 높은 SBP가 사망과 유의미한 연관.
실제 사례로 보는 혈압과 생존
김모 씨(68세, 남성, 당뇨병 없음)는 혈액투석을 3년째 받고 있습니다. 최근 혈압이 꾸준히 160~180 mmHg을 넘나들며, 피로와 두통을 호소했습니다. 의료진의 권고로 항고혈압제를 추가 조절하고 식단을 개선한 결과, 혈압이 130 mmHg대로 안정되면서 컨디션도 회복되고, 6개월째 입원 없이 생활하고 있습니다.
💡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혈압 관리 팁
-
투석 전후 혈압 기록을 습관화하세요
매번 같은 시간에 혈압을 재고 기록해두면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좋습니다. -
과도한 체중 증가는 혈압 상승을 유발합니다
투석 간 체중 증가량은 2~3kg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염분 섭취를 줄이세요
국물, 젓갈, 김치류는 피하고, 저염 식단을 실천하세요. -
규칙적인 투석 시간과 운동 습관이 중요합니다
운동은 가벼운 걷기나 스트레칭부터 시작하고, 의사와 상담 후 진행하세요. -
투석 중 저혈압 증상이 잦다면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어지럼증, 구역감, 식은땀 등은 저혈압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왜 너무 낮은 혈압도 위험한가?
혈압은 낮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연구에 따르면 SBP < 120 mmHg도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특히 고령자나 당뇨병 환자에게서 이런 경향이 적었지만, 전반적으로 U자형 곡선을 그리는 혈압과 사망률 관계는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혈압 모두 위험하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 앞으로의 방향: 맞춤형 혈압 목표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혈액투석 환자에서의 이상적인 혈압 범위(120~140 mmHg)를 제시했지만, 여전히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
혈압 측정 시점(투석 전/중/후)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음
-
단일 시점 측정보다는 장기 추적이 더 중요
-
투석 중 저혈압 사건의 영향 미반영
따라서 향후에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혈압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고령자, 당뇨병 환자, 심혈관질환 병력 유무에 따라 목표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 정리: 혈압 조절의 핵심 포인트
항목 | 권장 내용 |
---|---|
이상적인 SBP 범위 | 120–140 mmHg |
위험한 SBP 범위 | <120 mmHg 또는 >180 mmHg |
혈압 우선순위 | SBP가 더 중요함 |
고려해야 할 요인 | 나이, 당뇨병, 투석 중 저혈압 등 |
혈압 측정 시점 | 일관성 있게, 기록 유지 필수 |
📌 결론: 적정 혈압은 생존율을 좌우합니다
혈액투석 환자에게 혈압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SBP 120~140 mmHg를 목표로 하되, 개별 환자의 상태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가 필요합니다. 혈압 기록을 잘 유지하고,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개선하며, 이상 증상이 있을 땐 주저하지 말고 의료진과 상의하세요.
📚 Reference
Kim JE, Choi YJ, Hwang SY, et al. Target blood pressure in Korean hemodialysis patients for optimal survival. Kidney Res Clin Pract. 2025;44(2):310–323. https://doi.org/10.23876/j.krcp.25.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