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비만은 단순한 체중 문제가 아니라 당뇨병, 심혈관질환, 만성콩팥병 등과 밀접하게 연관된 만성질환입니다.
최근까지 비만 치료 약물은 주로 주 1회 투여(GLP-1 작용제, 티르제파타이드 등)가 중심이었으나, 월 1회 제형이 등장하면서 환자의 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그 주인공이 바로 마리데바트 카프라글루타이드(Maridebart Cafraglutide, MariTide)입니다.
이 약물은 GLP-1 수용체 작용제와 GIP 수용체 길항제를 결합한 혁신적 구조로, 체중 감소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임상시험 결과 요약
2025년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에 발표된 2상 임상시험에 따르면:
-
참가자 수: 592명
-
기간: 52주
-
대상: 비만군(평균 BMI 약 38)과 비만+제2형 당뇨병군(평균 BMI 약 36.5)
주요 결과
-
비만군: 평균 12~16% 체중 감소 (위약군 2.5% 감소)
-
비만+당뇨병군: 평균 8~12% 체중 감소 (위약군 1.7% 감소)
-
혈당 개선 효과: 당뇨 환자에서 HbA1c 1.2~1.6% 감소
-
지속 효과: 1년간 체중은 계속 감소 추세, plateau(정체기)에 도달하지 않음
부작용
-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위장관 증상(구역, 구토, 변비, 설사)
-
저용량 시작 및 단계적 증량 시 부작용이 줄어드는 경향 확인
-
심각한 안전성 문제나 새로운 위험 신호는 발견되지 않음
임상적 의미
-
편의성 향상
매일 혹은 매주 투여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월 1회 주사만으로 치료가 가능해지면, 환자의 순응도와 삶의 질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 효과
1년 동안 평균 15% 내외의 체중 감소는, 기존 약물 대비 상당히 우수한 성과로 평가됩니다. 이는 당뇨병 예방, 혈압 개선, 염증 감소(hs-CRP 감소) 등 대사 건강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당뇨 환자 혜택
비만과 당뇨를 함께 가진 환자에서도 상당한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 효과가 확인되어, 비만·당뇨 동반 환자 관리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과제
-
3상 임상시험: 장기 안전성, 체중 감소의 지속 여부, 심혈관 사건 예방 효과를 확인해야 함
-
부작용 관리: 초기 위장관 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맞춤형 용량 조절 필요
-
현실 적용성: 고비용 문제, 보험 적용 여부, 장기 순응도 등이 해결되어야 실제 임상에서 활용 가능
마리데바트 카프라글루타이드는 한 달에 한 번 주사만으로 체중을 의미 있게 줄일 수 있는 신개념 비만 치료제로, 향후 비만 치료의 새로운 표준이 될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장기적 안전성, 비용 대비 효과, 실제 환자 순응도는 3상 연구 이후 더욱 명확해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