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약물콩팥병

허혈성 신장 손상을 완화하는 sGC 활성화제 – 신장 보호의 새로운 가능성

허혈성 신장 손상을 완화하는 sGC 활성화제: 연구 결과 요약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Soluble Guanylyl Cyclase(sGC) 활성화제가 허혈성 신장 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 IRI)을 완화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연구진은 sGC 활성화제 BAY 60-2770을 이용해 신장 조직을 보호하고 염증 및 섬유화를 억제하는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 연구 주요 결과

  • sGC 활성화제는 신장 미세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개선하고 산소 공급을 증가시켰습니다.
  • 염증 및 섬유화 감소: IL-6, TNF-α, TGF-β1과 같은 염증 및 섬유화 관련 마커가 감소했습니다.
  • 신장 기능 회복: 크레아티닌 및 Cystatin C 수치가 개선되었으며, 신장 기능이 정상에 가깝게 유지되었습니다.
  • 혈관 리모델링 방지: 신장 내 미세혈관 협착이 줄어들고, 혈관 구조가 유지되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급성 신손상(AKI)뿐만 아니라 만성 신장병(CKD) 예방 및 치료에도 sGC 활성화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sGC 활성화제(BAY 60-2770)는 허혈성 신장 손상 후 혈관 구조를 보호하고 혈관 협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
  • 신장 미세혈관 확장 및 혈류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만성 신장병 진행을 늦출 가능성이 있음.

sGC(Soluble Guanylyl Cyclase)란?

**Soluble Guanylyl Cyclase(sGC)**는 세포 내에서 cGMP(cyclic GMP)를 생성하는 효소로, 혈관 확장, 항염증, 조직 보호 등 중요한 생리적 조절을 담당합니다.

🔹 sGC의 작용 기전

  1. 일산화질소(NO)와의 상호작용
    • 혈관 내피세포에서 생성된 NO는 sGC를 활성화하여 cGMP 생성을 증가시킵니다.
    • cGMP는 단백질 키나제 G(PKG)를 활성화하여 혈관 평활근 이완 → 혈류 증가 효과를 유도합니다.
  2. sGC 촉진제 vs. sGC 활성제
    • sGC 촉진제 (Riociguat, Vericiguat) → NO 의존적, 기존 NO 신호를 강화
    • sGC 활성제 (BAY 60-2770, Cinaciguat) → NO 없이도 직접 sGC 활성화, 산화 스트레스 환경에서도 효과적
  3. sGC 활성화로 인한 신장 보호
    • 신장 미세혈관 확장 → 산소 공급 증가
    •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 → 항염증 효과
    • TGF-β1 신호 차단 → 섬유화 진행 억제

sGC 활성화제가 효과적인 질환들

🔹 1. 급성 신손상(AKI)

  • 허혈성 신장 손상(IRI): 혈류가 차단된 후 재관류 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
  • 패혈증성 신손상(Septic AKI): 미세혈관 기능 유지 및 항염증 효과

🔹 2. 만성 신장병(CKD)

  • 당뇨병성 신병증: 신장 혈관 보호 및 혈류 개선 효과
  • 고혈압성 신손상: 혈압 조절과 신장 미세혈관 보호

🔹 3. 조영제 유발 신손상(CIN)

  • 조영제 사용 후 신장 혈류 저하를 예방하여 신독성 감소

🔹 4. 신장이식 후 조직 보호

  • 이식 후 허혈-재관류 손상을 줄이고 이식 신장 기능 유지

사례: sGC 활성화제의 실제 적용 가능성

📌 사례 1: 만성 신장병 환자에서 sGC 활성화제 적용

환자는 당뇨병성 신병증을 앓고 있는 55세 남성으로, GFR(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며 신기능이 저하되고 있었습니다.
기존 치료(ACEi, ARB 등)로는 혈압 조절은 가능했지만, 신장 기능 저하는 지속되었습니다.
sGC 활성화제 실험적 투여 후 신장 혈류 개선, 크레아티닌 감소, 신장 섬유화 억제 효과가 관찰됨.

📌 사례 2: 조영제 유발 신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sGC 활성화제 사용

65세 고혈압 환자가 심장 CT 촬영을 위해 조영제를 투여해야 하는 상황.
기존에는 수액 요법을 병행하지만, 조영제 유발 신손상의 위험이 존재.
sGC 활성화제를 예방적으로 투여 시, 신장 혈류 유지 및 신장 기능 보호 효과가 기대됨.


🔹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신장 보호 팁

✅ 1. 충분한 수분 섭취

  • 신장 혈류를 유지하고, 독소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하루 1.5~2L의 수분 섭취 권장.

✅ 2. 저염식 실천

  •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신장 부담이 줄어들고 혈압 조절이 용이해짐.

✅ 3.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

  • 크레아티닌, GFR, Cystatin C 수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신장 건강을 모니터링.

✅ 4. sGC 활성과 관련된 생활 습관

  • 운동: 산화질소(NO) 생성을 촉진하여 sGC 경로를 자연스럽게 활성화.
  • 과일 및 채소 섭취: 항산화 성분이 포함된 식품이 NO 생성을 도와 혈관 건강 유지.

Reference


👉 결론적으로, sGC 활성화제는 신장 보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향후 신장 질환 치료의 중요한 전략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신장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과 정기적인 건강 검진이 필수입니다!


Ezetimibe, 비스타틴 요법으로 이상지질혈증 관리하기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6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2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4일 ago

고령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공유의사결정: ‘생존’보다 ‘피로 없는 삶’을 선택하는 이유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