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현재 나의 콩팥 건강의 상태는?

현재 나의 콩팥 건강의 상태는?

 

콩팥(신장)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치료 방향과 생활 습관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서는 콩팥건강 평가를 위해 중요한 요소들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사구체여과율(GFR)

사구체여과율(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은 콩팥의 여과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콩팥 기능을 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GFR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분됩니다:

    • 1단계: GFR ≥90 mL/min/1.73㎡ (정상 또는 높은 기능)
    • 2단계: GFR 60-89 mL/min/1.73㎡ (경미한 감소)
    • 3단계a: GFR 45-59 mL/min/1.73㎡ (중등도 감소)
    • 3단계b: GFR 30-44 mL/min/1.73㎡ (중증도 감소)
    • 4단계: GFR 15-29 mL/min/1.73㎡ (심각한 감소)
    • 5단계: GFR <15 mL/min/1.73㎡ (말기 신부전, 투석 또는 이식 필요 가능)

GFR은 혈액검사를 통해 계산되며, 나이, 성별, 신체 크기 등을 고려해 산출됩니다.


2. 단백뇨 (요단백/요크레아티닌 비)

단백뇨는 콩팥 손상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단백뇨는 요단백과 요크레아티닌의 비율(urine protein-to-creatinine ratio, UPCR)을 통해 평가합니다:

    • 정상: UPCR < 150 mg/g
    • 경미한 증가: UPCR 150-500 mg/g
    • 중등도 증가: UPCR 500-1000 mg/g
    • 심각한 증가: UPCR > 1000 mg/g

단백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콩팥 손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3. 혈뇨

혈뇨는 소변 내 적혈구가 검출되는 상태로, 현미경적 혈뇨와 육안적 혈뇨로 나뉩니다.

혈뇨가 지속되거나 동반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 신장 또는 요로계 질환이 의심될 수 있으므로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4. 나트륨 섭취 평가 (요나트륨으로 계산)

나트륨 섭취는 콩팥건강과 혈압 관리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나트륨 섭취량은 소변 내 나트륨 농도(urinary sodium excretion)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검사나 단회뇨 검사를 통해 얻은 나트륨 수치를 사용하여 일일 섭취량을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저염식 실천 정도를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5. 합병증 평가

1) 빈혈

    • 혈액 내 헤모글로빈 수치 확인:
      • 남성: <13 g/dL
      • 여성: <12 g/dL

2) 골대사 이상

    • 혈중 칼슘, 인 농도와 부갑상선호르몬(PTH) 수치 평가

3) 고혈압

    • 혈압 측정:
      • 정상 혈압: <120/80 mmHg
      • 관리 목표: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설정

4) 심혈관질환

    • 심전도(EKG), 심장초음파(Echocardiography), 혈중 지질 수치(LDL, HDL, 총콜레스테롤) 검사
    • 기존 심혈관질환 병력 확인

콩팥 건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려면 사구체여과율, 단백뇨, 혈뇨와 같은 기본 지표뿐만 아니라, 나트륨 섭취 정도와 빈혈, 골대사 이상,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 여부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평가와 관리로 콩팥 질환의 진행을 예방하고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타민 E 를 섭취하면 뼈가 튼튼해지나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