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추석음식 전(煎)
추석과 설날 같은 명절이나 가족 모임에서 빠질 수 없는 음식 중 하나가 바로 전(煎)입니다.
부침개, 동그랑땡, 생선전, 버섯전, 호박전 등 기름에 지져낸 전은 고소하고 맛있지만, 당뇨병과 만성콩팥병 환자에게는 혈당·혈압·체중 관리와 관련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의 영양 성분, 당뇨·콩팥병 환자가 섭취할 때 주의할 점, 건강하게 먹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 전의 영양학적 특징
전은 보통 밀가루, 계란, 소금, 기름을 기본으로 하며, 여기에 재료(육류, 생선, 채소 등)를 더해 만듭니다.
-
열량: 기름 조리가 많아 칼로리가 높음 (동그랑땡 1장 50~70kcal, 생선전 1조각 80~100kcal)
-
탄수화물: 밀가루 반죽과 빵가루로 인해 당지수(GI)가 높아 혈당 상승 위험
-
단백질: 육류·생선·두부 전은 단백질이 풍부
-
지방: 조리 과정에서 기름 흡수 → 포화지방 섭취 증가 가능
-
나트륨: 양념, 간장, 소금 사용으로 염분 과다
👉 따라서 전은 칼로리·염분·포화지방이 높은 대표적인 명절 음식입니다.
3. 당뇨병 환자를 위한 전 섭취 가이드
① 혈당 관리 측면
-
밀가루·빵가루 대신 콩가루, 귀리가루, 현미가루 사용 추천
-
튀기듯 부치는 대신 기름을 최소화하고, 팬에 종이호일·에어프라이어 활용
-
소량 섭취: 밥 대신 전 2~3쪽 정도로 제한
② 인슐린 저항성 고려
-
전은 기름이 많아 혈당 반응을 늦추지만 총 칼로리를 높임
-
혈당 스파이크를 막기 위해 채소·샐러드와 함께 섭취
③ 실제 사례
-
60세 여성 당뇨 환자 A씨는 명절마다 전을 과식해 혈당이 250 이상으로 오름 → 올해는 동그랑땡 2개 + 채소전 2개 + 밥 1/2공기로 조절, 혈당 변동을 최소화
4. 콩팥병 환자를 위한 전 섭취 가이드
① 염분(나트륨) 제한
-
간장 양념에 찍어 먹는 습관은 위험 → 레몬즙, 식초 소스 대체
-
부침 간은 최소화, 소금 대신 허브·마늘·파로 풍미 보완
② 칼륨 조절
-
채소전(호박, 버섯 등)은 칼륨 함량이 높음
-
삶아서 물에 우려낸 뒤 사용하면 칼륨 감소 가능
-
특히 투석 환자는 하루 전 섭취량을 2~3쪽 이하로 제한
③ 단백질 과다 섭취 주의
-
생선전·육전은 단백질이 많아 비투석 환자(단백질 제한 필요)에게는 부담
-
반대로 투석 환자는 단백질 보충이 필요 → 동그랑땡, 두부전, 생선전 가능
5. 건강하게 전 먹는 팁
✅ 조리 방법 개선
-
팬에 기름을 최소한으로 뿌려 굽기
-
에어프라이어 활용 → 기름 흡수 줄이고 담백하게
-
전용 키친타월로 기름기 제거
✅ 재료 선택
-
밀가루 대신 병아리콩가루, 두부, 귀리 가루
-
육류보다는 생선·두부·버섯·채소 활용
-
소금 절제, 간은 최소화
✅ 섭취 방법
-
밥 + 전이 아니라 → 밥 일부를 전으로 대체
-
전을 먹을 때는 채소 반찬과 함께
-
명절 당일 한 번, 이후는 냉동 보관 후 분할 섭취
6. 실생활 적용 예시
-
비투석 CKD 환자: 전 2쪽 + 현미밥 1/3공기 + 나물 반찬
-
혈액투석 환자: 전 3쪽(단백질 보충 목적) + 밥 1/2공기 + 저칼륨 채소무침
-
당뇨 환자: 전 2쪽 + 채소무침 + 잡곡밥 1/3공기
전은 명절의 즐거움을 더해주는 음식이지만, 당뇨병과 콩팥병 환자에게는 관리가 필요합니다.
-
조리법 개선
-
섭취량 조절
-
환자 상태(비투석·투석)에 따른 맞춤 관리
이 3가지만 지켜도 전을 맛있고 안전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