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GLP-1 약물, 정말 당뇨병성 망막증 위험이 있나요?

GLP-1 약물, 정말 당뇨병성 망막증 위험이 있나요?

— 최신 연구로 본 사실과 오해

1. 왜 이 주제가 중요한가요?

GLP-1 수용체 작용제(세마글루타이드·둘라글루타이드·리라글루타이드·엑세나타이드)는 체중 감소와 심혈관 보호 효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6년 SUSTAIN-6 임상시험에서 세마글루타이드군의 당뇨병성 망막증 합병증 위험이 76% 증가했다는 결과가 보고되면서, 이 약물들이 눈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퍼졌습니다.

그 이후 환자와 의료진 모두 “이 약 먹으면 시력이 나빠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을 자주 하게 되었죠.


2. 최신 연구가 전한 ‘안심 신호’

2025년 **미국망막전문의학회(ASRS)**에서 발표된 대규모 분석(환자 약 16만 명, 상업·Medicare 데이터, 최소 1년 이상 복용) 결과에 따르면:

  • 세마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리라글루타이드, 엑세나타이드 제제 간 시력 위협 망막병증 위험 차이 없음

  • 2년 누적 망막 치료 필요 비율: 0.4~0.5%

  • 3년 누적 비율: 0.6~0.8%

즉, 특정 GLP-1 제제가 다른 제제보다 더 위험하다는 근거는 없었다는 것입니다.


3. 그럼 SUSTAIN-6 결과는 왜 달랐을까?

전문가들은 SUSTAIN-6에서 나타난 DR 위험 증가는 **‘빠른 혈당 강하’**와 관련 있다고 봅니다.

  • 고혈당 상태가 오래 유지되던 환자에서 HbA1c가 급격히 떨어지면 EWDR(early worsening of diabetic retinopathy)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현상은 GLP-1뿐 아니라 인슐린 등 다른 강력 혈당강하제에서도 보고됩니다.


4. 단순 망막증 외에 새로 주목되는 ‘눈 신호’

2025년 관찰 연구에서 NAION(비동맥염성 허혈성 시신경병증),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AMD) 위험 증가 가능성이 제시되었습니다.

  • 절대위험은 낮지만, 시야 결손이나 중심 시력 저하가 생기면 즉시 안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 인과관계는 확정되지 않았으나,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5. 실제 환자 사례

서울의 58세 A씨는 HbA1c가 10.2%였고, 세마글루타이드를 시작한 뒤 3개월 만에 7.1%로 떨어졌습니다.

  • 4개월째 시야 흐림을 느껴 안과 검사에서 경미한 황반부종이 발견됐습니다.

  • 치료 후 증상은 호전되었고, 혈당 조절은 계속 유지했습니다.
    → 교훈: 빠른 혈당 하강 시 초기 안과 검진·추적이 필수입니다.


6. GLP-1 복용 시 눈 건강 체크리스트

✔ 시작 전: 최근 1~2년 내 안저검사 없었다면 산동 안저검사 필수
✔ 초기·증량기: 시력 흐림·암점·광시증·시야 결손 즉시 안과의뢰
✔ 혈당관리: ‘빨리’보다 ‘안전하게’ — HbA1c 서서히 낮추기
✔ 병합 관리: 혈압·지질·금연·신장기능 관리로 DR 진행 억제
✔ DR 우려만으로 약제 회피는 불필요 — 전신 이점과 부작용 종합 평가


7. 결론

  • 현재까지 근거: GLP-1 제제가 ‘전반적으로’ 당뇨병성 망막증 위험을 높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주의 포인트: 급격한 혈당하강 시 초기 악화 가능성, 비-DR 안질환 신호(NAION·습성 AMD) 존재

  • 실행: 시작 전·초기 안저검사, 증상 발생 시 신속 대응, 전신질환 관리 병행


📌 정리
GLP-1 약물은 심혈관·체중·혈당 조절에 큰 이점이 있는 만큼, 눈 건강 위험은 모니터링·관리로 최소화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무조건 피하기보다, 환자 맞춤형 접근이 필요합니다.


💡 TIP:

  • 혈당이 높고 오래된 당뇨 환자는 용량을 서서히 올리고, 첫 6개월은 안과 검진 주기를 짧게 잡으세요.

  • 눈 건강뿐 아니라 심혈관·신장 보호 효과를 고려해 장기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문헌:

  • Barkmeier AJ, ASRS Annual Meeting 2025 발표자료

  • Marso SP et al. NEJM 2016;375:1834-1844 (SUSTAIN-6)

  • 2023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on GLP-1 RA and DR Risk

  • ADA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25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