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 HOMA-IR과 HOMA-B: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 베타세포 기능을 이해하다

HOMA-IR과 HOMA-B: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 베타세포 기능을 이해하다

 

우리 몸은 인슐린을 통해 혈당을 조절합니다. 하지만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의 기능이 저하되면 당뇨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가 바로 HOMA-IRHOMA-B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지표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HOMA-IR: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

**HOMA-IR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는 우리 몸이 인슐린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평가합니다.

    • 공식:
    • 정상 범위: 1.0~2.5 (2.5 이상이면 인슐린 저항성 가능)
    • 인슐린 저항성 지표:
      • 2.5 이상: 인슐린 저항성 가능성
      • 2.9 이상: 인슐린 저항성이 더 명확히 의심됨

HOMA-IR이 중요한 이유

    • 당뇨병 위험 평가: HOMA-IR이 높을수록 제2형 당뇨병의 가능성이 커집니다.
    • 대사증후군 관리: 인슐린 저항성은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연관됩니다.

HOMA-B: 췌장 베타세포 기능의 지표

**HOMA-B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Beta-cell Function)**는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의 기능을 평가합니다.

    • 공식:  
    • 정상 기준: 100% (100% 미만이면 베타세포 기능 저하)

HOMA-B가 중요한 이유

    • 베타세포 기능 평가: 당뇨병 초기 단계에서 췌장의 부담 정도를 확인합니다.
    • 치료 계획 수립: 환자의 상태에 맞는 약물 조합(인슐린 분비 촉진제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검사를 받으려면?

HOMA-IRHOMA-B를 계산하려면 다음 검사 결과가 필요합니다:

    1. 공복 혈당(Fasting Glucose):
      • 8~12시간 금식 후 혈액검사로 측정합니다.
      • 단위: mg/dL 또는 mmol/L
    2. 공복 인슐린(Fasting Insulin):
      • 동일한 혈액검사로 측정.
      • 단위: µIU/mL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HOMA 지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HOMA-IR과 HOMA-B의 유용성

    • 질병의 초기 진단: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맞춤형 치료: 인슐린 저항성 또는 베타세포 기능 저하에 따라 치료 방향을 설정합니다.
    • 치료 경과 모니터링: 생활 습관 개선이나 약물 치료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HOMA-IR과 HOMA-B는 당뇨병 및 관련 질환의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지표입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상담을 통해 혈당과 인슐린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을 지키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