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미분류

PPI와 H2RA 병용 시 골절 위험 증가 – 임상적 의미와 처방 관리의 중요성

PPI와 H2RA 병용이 골절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PPI(양성자펌프억제제)와 H2RA(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를 병용하면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Oh DJ, et al., 2024). 연구진은 2014~2020년 한국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산 억제제 사용과 골절 발생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 연구의 핵심 결과:

  • PPI 단독 사용 시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 증가 (HR 1.31, p < 0.001)
  • H2RA 단독 사용 시도 골절 위험 증가 (HR 1.44, p < 0.001)
  • PPI+H2RA 병용 시 골절 위험이 1.58배 증가 (HR 1.58, p = 0.010)
  • PPI+H2RA+MPA(점막보호제) 병용 시 골절 위험이 1.71배 증가 (HR 1.71, p = 0.001)

이 연구는 PPI 또는 H2RA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PPI+H2RA를 병용할 때 골절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PPI와 H2RA를 함께 처방하는 경우가 실제로 많을까? 그리고 보험 급여도 되지 않는 병용 처방을 연구한 이유는 무엇일까?


PPI+H2RA 병용처방은 드문데, 왜 연구를 했을까?

실제로 PPI와 H2RA를 함께 처방하는 경우는 드물며, 건강보험 급여도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연구에서는 실제 처방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했으며,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PPI와 H2RA가 함께 처방된 사례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 PPI+H2RA 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

1️⃣ 다른 병원에서 중복 처방된 경우

  • 여러 병원을 다니는 환자들이 PPI를 한 곳에서 처방받고, 다른 병원에서 H2RA를 추가로 처방받는 일이 있을 수 있다.

2️⃣ 보험 급여와 무관하게 비급여 처방이 이루어진 경우

  • 야간 위산 분비 돌파(Nighttime Acid Breakthrough, NAB)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비급여로 H2RA를 추가 처방할 수 있다.

3️⃣ PPI 치료 중 효과 부족으로 H2RA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병용

  • 한동안 PPI와 H2RA를 함께 처방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실제 처방 패턴을 반영하여, PPI+H2RA 병용이 골절 위험을 증가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PPI와 H2RA가 장기간 사용 시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을 증가시키는 기전

PPI와 H2RA는 위산 억제 작용을 하지만, 장기 사용 시 칼슘 흡수 감소 및 골 형성 저하로 인해 골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1. PPI의 골절 위험 증가 기전

🔹 위산이 감소하면 칼슘 흡수가 저하됨

  • 칼슘이 흡수되려면 위산이 칼슘을 이온화(Ca²⁺)해야 하는데, PPI가 이를 억제하여 칼슘 흡수를 방해함.

🔹 부갑상선호르몬(PTH) 활성 증가

  •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지면 PTH가 증가하고, 이는 골흡수를 촉진하여 뼈 손실을 유발할 수 있음.

🔹 골아세포 기능 저하

  • PPI가 뼈 형성을 담당하는 골아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됨.

2. H2RA의 골절 위험 증가 기전

🔹 위산 감소로 칼슘 흡수 저하 (PPI와 유사한 메커니즘)
🔹 비타민 B12 결핍 유발 가능성

  • 장기 사용 시 B12 결핍 → 골밀도 감소와 연관될 수 있음.

PPI는 낮 동안 위산 분비를 억제하고, H2RA는 야간 위산 분비 억제 효과가 더 강한 이유

PPI와 H2RA는 작용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시간대별로 효과 차이가 있음.

1. PPI는 낮 동안 효과적

  • PPI는 양성자펌프(H⁺/K⁺ ATPase)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지만, 활성화되려면 위산 분비가 있어야 함.
  • 식사 후 위산이 분비될 때 PPI가 활성화되므로, 낮 동안 효과가 강함.
  • 그러나 새로운 양성자펌프가 합성되면서 야간에는 위산 분비 억제 효과가 감소.

2. H2RA는 야간에 더 효과적

  • H2RA는 히스타민이 H2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
  • 밤에는 식사 자극 없이 위산이 히스타민에 의해 분비되는데, H2RA가 이를 차단하여 야간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

임상적 의의 – 처방약 점검의 중요성

이번 연구는 PPI+H2RA 병용이 골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

복용 중인 약을 꼼꼼히 점검하고, 불필요한 중복 처방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특히 노인 환자나 만성질환자는 다약제 사용(polypharmacy)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
PPI 또는 H2RA 단독 치료로 조절이 가능하다면, 병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Reference:

Oh DJ, et al.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24;39:228-237.



PPI (양성자펌프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

👉 위벽의 양성자펌프(H⁺/K⁺ ATPase)를 억제하여 위산 분비를 강력히 차단하는 약물
👉 식후에 복용하는 경우 효과가 큼 (낮 동안 위산 억제 효과 강함)
👉 장기간 사용 시 골다공증, 골절 위험 증가 가능

📌 대표적인 PPI 약물 & 상품명

성분명 대표 상품명 (제약사)
에소메프라졸 (Esomeprazole) 넥시움(Nexium, 아스트라제네카), 에소메졸(한미)
오메프라졸 (Omeprazole) 오엠피(Omp, 한미), 로섹(Losec, 아스트라제네카)
란소프라졸 (Lansoprazole) 란스톤(Lansone, 한독)
판토프라졸 (Pantoprazole) 판토록(Pantoloc, 대웅), 판탁스(Pantax, 종근당)
라베프라졸 (Rabeprazole) 파리에트(Pariet, 에자이), 라베신(라베프라졸 제네릭)
덱스란소프라졸 (Dexlansoprazole) 덱실란트(Dexilant, 다케다)
일라프라졸 (Ilaprazole) 놀텍(Noltec, 일양)

H2RA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H2 Receptor Antagonist)

👉 위벽의 H2 수용체를 차단하여 히스타민에 의한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
👉 야간 위산 분비 억제 효과가 강함
👉 장기간 사용 시 칼슘 및 비타민 B12 흡수 저하 가능

📌 대표적인 H2RA 약물 & 상품명

성분명 대표 상품명 (제약사)
파모티딘 (Famotidine) 가스터(Gaster, 대웅), 파모티딘정(국내 제네릭)
라니티딘 (Ranitidine) 잔탁(Zantac, GSK) → NDMA 불순물 문제로 퇴출됨
니자티딘 (Nizatidine) 엑시드(Exid, 동아)
록사티딘 (Roxatidine) 록산(Roxane, 동아)
시메티딘 (Cimetidine) 타가메트(Tagamet) →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허혈성 신장 손상을 완화하는 sGC 활성화제 – 신장 보호의 새로운 가능성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에너지음료, 당뇨병과 콩팥에 미치는 진짜 영향

에너지음료, ‘활력의 상징’인가 ‘대사질환의 시작’인가 하루가 짧고 피로가 누적될수록 손이 가는 음료가 있습니다. 바로 에너지음료입니다.광고에서는…

12시간 ago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일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3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3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3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