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명 (연도) | 대상 | 주요 결과 | 
|---|---|---|
| EMPA-REG OUTCOME (2015) | 제2형 당뇨병 + 고위험 심혈관 질환 환자 | 심혈관 사망 및 총사망률 감소, 신장질환 진행 위험 39% 감소, 사구체 여과율(eGFR) 감소 속도 완화 | 
| CANVAS Program (2017) | 제2형 당뇨병 + 심혈관 질환 혹은 고위험군 | 심혈관 사건(MACE) 위험 14% 감소, 신장 질환 진행 위험 40% 감소, 당뇨병성 신장병에서 알부민뇨 감소 효과 | 
| CREDENCE (2019) | 제2형 당뇨병 + CKD (eGFR 30~90 ml/min/1.73m²) | 신장 및 심혈관 사망·투석 위험 34% 감소, 말기 신장질환(ESKD) 진행 억제, eGFR 감소율 개선 | 
| DAPA-CKD (2020) | CKD (당뇨병 유무 무관, eGFR 25~75 ml/min/1.73m²) | CKD 진행 및 신장·심혈관 사망 위험 39% 감소, 비당뇨병 환자에서도 유효, 체액량 조절·사구체 과여과 완화를 통해 신장 보호 효과 | 
| EMPA-KIDNEY (2022) | CKD 환자 (eGFR 20~45 ml/min/1.73m²) | CKD 진행 및 신장관련 사망 28% 감소, 심혈관 사망·입원율 유의미하게 감소, empagliflozin이 중등도·중증 CKD에서도 효과 확인 | 
| 연구명 (연도) | 대상 | 주요 결과 | 
| LEADER (2016) | 제2형 당뇨병 + 고위험 심혈관 질환 환자 |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사용 시 심혈관 사망 22% 감소, 알부민뇨 악화 26% 감소, 신장기능 저하 지연 효과 가능성 | 
| SUSTAIN-6 (2016) | 제2형 당뇨병 +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사용 시 심혈관 사건 위험 26% 감소, 알부민뇨 진행 위험 46% 감소, 말기 신부전(ESKD)에 대한 효과는 확실치 않음 | 
| REWIND (2019) | 제2형 당뇨병 + 심혈관 질환 위험군 | 둘라글루타이드(dulaglutide) 사용 시 MACE 위험 감소, 알부민뇨 진행 위험 23% 감소, 심혈관 및 신장 보호 가능성 확인 | 
| FLOW (2024, 진행 중) | CKD + 제2형 당뇨병 (eGFR 50~75 ml/min/1.73m²) | 세마글루타이드의 신장 보호 효과를 집중 평가, 사구체 여과율 감소 속도 지연, 알부민뇨 완화 가능성 보고, 중대한 신장·심혈관 사건 예방 여부는 최종 결과 발표 후 확정 | 
| AWARD/AMPLITUDE 시리즈 | 제2형 당뇨병 (티르제파타이드/에페글레나타이드 등 신약 포함) | 일부 연구에서 체중, 혈당, 심혈관 지표 개선 효과 확인, CKD 환자까지 확대 적용 가능성 있으나 본격적 신장 보호 효과 확인 위한 대규모 RCT 필요, GLP-1 수용체는 항죽상경화효과(혈관염증감소, 산화스트레스억제, 혈관내피기능개선, 혈당에 대한 효과, 혈압과 체중감소) 효과가 있다. | 
SGLT2 억제제는 콩팥 근위세뇨관에서 포도당 재흡수 억제를 통해 혈당 조절, 체액량 감소, 사구체 과여과(hyperfiltration) 완화 효과를 보인다.
GLP-1 작용제는 인슐린 분비 촉진, 글루카곤 분비 억제, 위장관 배출 지연을 통해 혈당 조절, 체중 감량, 죽상경화성 심혈관 사건 감소를 유도한다.
두 약물의 작용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병용 시 심부전 및 죽상경화 질환 모두를 아우르는 심혈관 예방 효과와 신장 보호 효과를 동시에 극대화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를 단독군 vs 병용군으로 명확히 구분하여 비교한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은 부족하다. 향후 CKD 말기 환자나 중증 심부전 환자, 혹은 높은 죽상경화성 위험군 등 다양한 환자군에 대해 직접 RCT가 이루어진다면, 병용치료의 최적 사용 전략이 도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Reference
Mann JFE, Rossing P, Bakris G, et al. Effects of semaglutide with and without concomitant SGLT2
inhibitor use in participa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FLOW trial. Nat Med. 2024;30:2849–2856 and
Apperlo EM, Neuen BL, Fletcher RA,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SGLT2 inhibitors with and without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a SMART-C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24;12:545–557.
Talat Alp Ikizler. The combination of SGLT2 inhibitors and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are 2 drugs better than 1?Kidney International (2025) 107, 385–388.
에너지음료, ‘활력의 상징’인가 ‘대사질환의 시작’인가 하루가 짧고 피로가 누적될수록 손이 가는 음료가 있습니다. 바로 에너지음료입니다.광고에서는…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