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

건강검진 전 수분 섭취를 하지 않으면 신장 기능에 영향을 주나요?

TIP: 건강검진 전 수분 섭취, 어디까지 가능할까?
많은 사람들이 건강검진을 앞두고 “금식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물조차 마시면 안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을 합니다. 하지만 검사 종류에 따라 수분 섭취가 가능하거나, 오히려 권장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신장 기능 검사를 받을 때는 수분 부족이 일시적으로 크레아티닌 수치를 높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건강검진 전 수분 섭취 제한이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안전한 수분 섭취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건강검진 전 수분 섭취, 어디까지 가능할까?

건강검진에서 금식이 필요한 이유는 주로 혈당과 지질 검사(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때문입니다. 하지만 수분 섭취 제한은 검사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1) 위내시경 검사

  • 검사 전 6시간 전부터 금식이 원칙이며, 맹물은 검사 2시간 전까지 섭취 가능합니다.
  • 커피, 우유, 주스 등은 피해야 합니다.
  • 탈수를 방지하려면 검사 전날까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대장내시경 검사

  • 검사 전날 장정결제를 복용해야 하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수적입니다.
  • 투명한 액체(맹물, 이온음료, 맑은 국물 등)만 섭취 가능하며, 검사 2~4시간 전부터 금식해야 합니다.
  • 검사 당일에도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3) 혈액 검사 및 신장 기능 검사 (크레아티닌, GFR)

  • 수분 섭취 제한이 필요하지 않으며, 충분한 수분 섭취가 권장됩니다.
  • 검사 전날과 당일에도 물을 마시는 것이 혈액 순환과 신장 기능 평가에 도움이 됩니다.
  • 탈수가 심하면 크레아티닌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신장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전한 수분 섭취 제한

6~12시간 금식이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미미하지만, 만성콩팥병 환자는 조심해야 합니다.

1) 건강한 사람의 경우

  • 6~12시간 동안 수분을 섭취하지 않아도 신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지는 않습니다.
  • 하지만 검사 전날까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만성콩팥병 환자의 경우

  • 탈수 상태가 되면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검사 전날과 검사 당일 가능한 한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야 합니다.
  • 검사 후 빠르게 수분을 섭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3. 실제 사례: 수분 부족으로 인한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

사례 1: 건강한 40대 남성 A씨

  • 건강검진을 위해 검사 전날 저녁부터 완전 금식(물 포함)
  • 검사 결과, 크레아티닌 수치가 1.3mg/dL로 일시적 상승
  • 이후 충분한 수분 섭취 후 재검사 시 정상(1.0mg/dL)으로 회복

사례 2: 만성콩팥병을 앓고 있는 60대 여성 B씨

  • 대장내시경 검사 전날, 장정결제 복용 후에도 충분한 수분 섭취 부족
  • 검사 당일 크레아티닌 수치 2.5mg/dL → 검사 후 충분한 수분 섭취 후 2.0mg/dL로 회복
  • 이후, 검사 전 수분 섭취 가이드 준수 후 재검사에서 안정적인 수치 유지

4. 건강검진 전 수분 섭취 가이드

전날 저녁까지 충분한 수분 섭취(500~1000mL)
위내시경: 검사 6시간 전까지 물 섭취 가능
대장내시경: 검사 전날 충분한 수분 보충 후, 검사 2~4시간 전부터 제한
신장 기능 검사: 수분 섭취 제한이 없으며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음
검사 후 빠르게 수분 보충하여 탈수 예방

5. 결론: 건강검진 전 수분 섭취, 제한할 필요 없는 경우가 많다

건강검진 전 수분 섭취는 검사 종류에 따라 다르며, 대부분의 검사에서 맹물 섭취는 제한되지 않거나 오히려 권장됩니다. 특히 신장 기능 검사에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며, 탈수를 방지하는 것이 크레아티닌 수치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 Reference

  1. National Kidney Foundation. Hydration and Kidney Health. https://www.kidney.org
  2. Mayo Clinic. Fasting Before Medical Tests: Guidelines. https://www.mayoclinic.org

콩팥병 새로운 치료기전 가능성 발견 : Purinergic Receptor P2X7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당뇨병에 좋은 음료 vs 피해야 할 음료, 무엇이 다를까?

당뇨병 환자에게는 매끼 식사만큼이나 ‘음료 선택’이 중요합니다. 마시기 쉬워서 간과되기 쉽지만, 한 잔의 음료가 혈당을…

2일 ago

한국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 7만 명 분석으로 본 생존율과의 관계

혈압 조절은 만성콩팥병(CKD)과 혈액투석 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인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얼마일까요?…

3일 ago

스타틴, 오해와 진실: 간 손상? 근육통? 당뇨? 고령자 사용?

“고지혈증 약 먹고 나서 간이 안 좋아졌어요.”“근육이 아픈데, 혹시 스타틴 때문 아닐까요?”“스타틴 먹으면 당뇨 생긴다는데,…

4일 ago

“잠이 부족하면 혈압이 오른다?” – 수면시간과 고혈압의 놀라운 연관성

“수면 부족은 단순히 피곤함의 문제가 아니라, 심장과 혈관 건강에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 왜 수면이 고혈압과…

5일 ago

HDL 콜레스테롤이 높아도 위험할 수 있다? 당뇨병성 콩팥병증과의 관계

HDL 콜레스테롤, 항상 좋은 걸까?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6일 ago

데노수맙(프롤리아) 사용 시 투석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저칼슘혈증: 원인, 사례, 예방법

데노수맙(프롤리아)이란 무엇인가요? **데노수맙(프롤리아®, Prolia®)**은 뼈를 분해하는 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억제하는 RANKL 억제제입니다. 이 약물은 다음과…

1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