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과 약물, 미네랄을 걸러주는 ‘정수기’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콩팥병(CKD)이 진행되면 이 기능이 떨어지면서, 평소엔 문제 되지 않던 성분조차 체내에 쌓여 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보충제)은 고용량으로 농축된 성분이 많아, 콩팥이 손상된 사람에게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습니다.
도움 되는 이유: 콩팥병이 진행되면 비타민 D 활성화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뼈 약화(신성 골질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천 형태: 활성형 비타민 D (Calcitriol, Alfacalcidol 등은 의사 처방 필요), 일반 보충제는 ‘D3’ 형태
주의: 칼슘 수치가 높은 경우엔 과잉 섭취 금지
도움 되는 이유: 혈압 조절, 염증 감소, 단백뇨 개선 가능성
추천 기준: EPA/DHA 합 1,000mg 이하로 시작, 순도 높은 제품 권장
주의: 항응고제 복용 중이면 출혈 위험 증가 가능성 있음
도움 되는 이유: 피로 개선, 말초 신경 보호, 호모시스테인 조절
추천 형태: 복합 B군 (B1, B6, B12 포함)
주의: B6 과잉 복용 시 신경 손상 가능
도움 되는 이유: 콩팥병에서 흔한 빈혈 개선
복용 시점: 혈중 페리틴과 트랜스페린 포화도 확인 후, 의사 지시에 따라 복용
주의: 철분은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어 과다복용 금지
도움 되는 이유: 장내 독소 제거 (특히 uremic toxin 생성 억제), 설사 예방
추천 균주: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계열
주의: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감염 위험 고려
주의 이유: 신기능이 나쁘면 마그네슘 배설이 어려워 고마그네슘혈증 유발 가능
증상: 근육 약화, 저혈압, 심정지까지 가능
주의 이유: 고칼륨혈증은 심장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함
주의 제품: 칼륨이 포함된 종합비타민, 운동 보충제
주의 이유: 근육 기능 향상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콩팥 수치(크레아티닌) 해석을 방해하고 신기능 저하를 가릴 수 있음
주의 이유: 단백질 과잉 섭취는 콩팥 부담 증가 → 사구체 과여과 유발
예외: 투석 중인 환자는 오히려 단백질 필요량 증가 (별도 관리 필요)
주의 이유: 정확한 성분표기 없고, 일부는 신독성 성분 포함
예시: 감초 포함 제품
50대 남성, 만성콩팥병 3기, 고혈압 동반
건강을 위해 TV에서 본 ‘마그네슘+칼륨 보충제’를 섭취 후 1주일간 복통과 근육통 발생. 병원 내원 시 고칼륨혈증 및 마그네슘 과다로 입원 치료.
👉 교훈: TV나 유튜브 추천만으로 보충제를 선택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60대 여성, 당뇨병성 콩팥병, 빈혈 증상
처방 없이 철분제를 복용하다가 위장 장애 및 혈중 철분 과다 소견.
정확한 검사 후 처방용 철분제 변경 → 증상 개선
👉 교훈: 빈혈 치료용 보충제도 검사를 통한 용량 조절이 필수입니다.
체크 항목 | 설명 |
---|---|
혈액검사 결과 확인 | 혈중 전해질, 크레아티닌, 사구체여과율, 철분 수치 등 |
약물 상호작용 여부 | 현재 복용 중인 약과의 충돌 가능성 검토 |
의사·약사 상담 | 자가 판단보다 전문가 조언이 안전 |
신장기능 단계에 따른 용량 조절 | 만성콩팥병 단계별로 필요한 성분과 제한 성분 다름 |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인지 확인 | GMP 인증, 무첨가 표시, 출처 명확한 원료 사용 여부 등 |
의료진 상담 후 시작: 특히 만성콩팥병 3기 이상 환자는 반드시 의료진 확인
하나씩, 적은 용량부터 시작: 이상 반응 확인을 위해
합성 감미료, 인공 색소 없는 제품 선택: 인산염, 칼륨 첨가물 피하기
복합제보다 단일제 선호: 어떤 성분이 영향을 주는지 파악 가능
모든 건강기능식품이 ‘건강’을 위한 것은 아닙니다. 콩팥병 환자에게는 필요한 성분은 보충하고, 해로울 수 있는 성분은 철저히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분별한 복용은 오히려 신장 기능을 악화시키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혈액검사, 전문가 상담, 신장기능 단계에 맞춘 섭취 가이드만이 안전한 건강관리의 길입니다.
📌 더 많은 정보와 상담은 수안내과의원 블로그 및 카페(https://cafe.naver.com/aboutckd)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마음에 드시면, 카페 가입과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 👩⚕️🩺
알포트증후군(Alport syndrome, AS)은 유전성 신질환으로, 흔히 혈뇨로 시작해 단백뇨, 신기능 저하로 진행하며, 일부에서는 청력 저하와…
당뇨병성 신장질환(DKD, Diabetic Kidney Disease)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만성 합병증으로, 말기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최근 소아·청소년 비만율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면서,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과 그에 따른 만성콩팥병 위험이 중요한 문제로…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주요 만성질환 중 하나입니다. 콩팥 기능이 점차…
비타민 D는 뼈 건강과 면역 조절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스페인의 발레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