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고혈압

고혈압과 어지러움: 혈압 133/90mmHg, 걱정해야 할까?

1. 혈압 133/90mmHg는 정상일까?

고혈압과 어지러움, 혈압 133/90mmHg는 **고혈압 전단계(고혈압 1기)**로 분류됩니다. 정상 혈압은 일반적으로 120/80mmHg 미만이며, 고혈압 1기는 수축기 혈압이 130 ~ 139 mmHg  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89mmHg일 때 해당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 및 미국심장협회(AHA)의 기준에 따르면, 130/80mmHg 이상이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혈압 수치는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2. 혈압과 어지러움의 관계

일주일 동안 지속된 어지러움은 혈압 때문일 수도 있고, 다른 원인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혈압 관련 원인

  • 혈압 변동성(Hypertension variability): 혈압이 갑자기 변동하면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립성 저혈압: 갑자기 일어설 때 혈압이 떨어지면서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고혈압으로 인한 뇌혈류 변화: 고혈압이 지속되면 뇌로 가는 혈류가 일정하지 않아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가능성 있는 원인

  • 갑상선 문제: 사용 중인 **메티마졸(methimazole, 항갑상선제)**이 혈압과 어지러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빈혈: 혈액 내 산소 공급이 부족하면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탈수: 체내 수분이 부족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내이 문제: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혈압과 어지러움,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

🚨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

증상 가능성 있는 질환
심한 두통 또는 시야 장애 고혈압성 위기
말이 어눌해짐, 혼동, 마비 뇌졸중 가능성
가슴 통증 또는 숨 가쁨 심장 질환 가능성
혈압이 180/110mmHg 이상 고혈압 응급상황

📅 의사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증상 가능성 있는 원인
일주일 이상 어지러움이 지속됨 혈압 변동, 기립성 저혈압, 내이 문제
혈압이 지속적으로 130/80mmHg 이상 만성 고혈압 가능성
피로, 체중 변화, 발한 증가 등 갑상선 증상 동반 갑상선 기능 이상
약물 부작용이 의심됨 (메티마졸, 혈압약 등) 약물 반응 또는 부작용

4. 혈압을 낮추는 방법

🥗 식이요법

  • 나트륨 섭취 줄이기: 하루 2g(소금 5g) 이하로 제한.
  • 칼륨이 풍부한 음식 섭취: 바나나, 고구마, 토마토 등.
  • 가공식품 줄이기: 인스턴트, 패스트푸드 제한.

🚶‍♂️ 생활 습관 개선

  • 운동: 일주일에 150분 이상 유산소 운동.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요가, 심호흡 운동.
  • 금연 및 절주: 흡연과 과음은 혈압을 높이는 주요 원인.

5. 연구 데이터와 사례

📊 연구 1: 혈압과 어지러움의 상관관계

미국 심장협회(AHA)의 연구에 따르면, 혈압이 130/90mmHg 이상인 사람들은 정상 혈압(120/80mmHg 이하)인 사람들보다 어지러움을 느낄 확률이 2배 더 높습니다.

🏥 사례 연구: 50세 남성 환자

  • 50세 남성이 혈압 135/88mmHg로 측정되었으며, 일주일 동안 지속된 어지러움을 호소.
  • 혈압 변동성이 심하고, 기립성 저혈압이 동반됨.
  • 나트륨 섭취 줄이고, 유산소 운동을 시작한 후 4주 후 혈압 124/82mmHg로 안정됨.

6. 혈압 측정 및 관리법

✅ 올바른 혈압 측정법

  • 아침, 저녁 같은 시간대에 측정
  • 의자에 앉아 5분간 안정 후 측정
  • 양쪽 팔로 측정 후 평균값 기록
  • 측정 전 30분 내 카페인, 흡연, 운동 삼가

📈 혈압 기록 앱 추천

  • Samsung Health, 혈압 다이어리, Omron Connect 등으로 기록.

7. 결론

  • 혈압 133/90mmHg는 약간 높은 수준이지만, 즉각적인 응급 상황은 아님
  • 어지러움이 지속되면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료가 필요함
  •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혈압을 조절할 수 있음
  • 혈압이 갑자기 급등하거나 응급 증상이 동반되면 즉시 병원 방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심장과 골격근에 미치는 영향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5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2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4일 ago

고령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공유의사결정: ‘생존’보다 ‘피로 없는 삶’을 선택하는 이유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