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고혈압콩팥병

고혈압, 조용한 살인자: 콩팥을 망가뜨리는 또 하나의 이유

고혈압은 콩팥을 어떻게 망가뜨릴까?

고혈압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조용한 살인자’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그 파괴력은 심각하며, 특히 콩팥에 끼치는 피해는 평생 투석까지 이르게 할 수 있을 정도로 큽니다.

실제 사례 ①

55세 남성 A씨는 건강검진에서 고혈압을 지적받았지만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어 방치했습니다. 2년 후, 소변에서 거품이 많아진 것을 느껴 병원을 찾았고, 단백뇨사구체 여과율(GFR) 45로 만성콩팥병 3단계 진단을 받았습니다.


고혈압이 콩팥을 망가뜨리는 방식

  1. 혈관 손상
    고혈압은 콩팥 내 미세혈관을 파괴하여 혈류를 막고 산소 공급을 방해합니다.

  2. 사구체 손상(GFR 감소)
    사구체는 혈액 여과의 핵심입니다. 지속된 고혈압은 사구체를 손상시켜 여과율을 떨어뜨립니다.

  3. 단백뇨 유발
    손상된 사구체는 단백질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고 소변으로 누출시킵니다.

  4. 신장 혈류 감소
    콩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면 신장 세포가 괴사하거나 기능을 잃습니다.

  5. 염증 및 섬유화 유도
    만성 염증은 신장 조직의 섬유화를 초래하여 복구가 어렵습니다.


실제 사례 ②

63세 여성 B씨는 당뇨가 있었고, 고혈압은 비교적 잘 조절된 편이었습니다. 그러나 무심코 넘긴 소변 거품, 피로감 등의 증상이 반복되었고 검사 결과 투석 직전 단계인 콩팥 기능 저하(GFR 15)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원인은 고혈압과 당뇨에 의한 복합 손상이었습니다.


왜 콩팥병은 고혈압과 함께 오는가?

  • 콩팥은 혈압 조절 호르몬(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을 조절합니다.

  • 고혈압은 콩팥을 망가뜨리고, 망가진 콩팥은 다시 혈압을 올리는 악순환을 만듭니다.

  • 만성콩팥병 환자의 80% 이상이 고혈압을 동반합니다.


콩팥을 지키는 혈압 관리 방법

  1. 혈압 측정 습관
    아침·저녁, 안정된 상태에서 혈압 측정. 목표는 130/80mmHg 이하.

  2. 저염식 실천
    하루 나트륨 2g 이하. 국물 줄이고, 가공식품 피하기.

  3. 체중 감량 + 유산소 운동
    일주일 3~5회, 30분 걷기 운동만으로도 큰 차이.

  4. 약물 치료
    ARB, ACEi는 콩팥 보호 효과도 탁월. 의사 처방에 따라 복용.


실제 사례 ③

49세 직장인 C씨는 가정용 혈압계를 활용해 3개월간 매일 혈압을 체크하며 식습관을 바꿨습니다. 체중을 6kg 줄였고, 혈압은 145에서 125mmHg로 안정, 소변 단백뇨도 사라졌습니다.


마무리하며

고혈압은 조용히 콩팥을 망가뜨리는 질환입니다. 지금 혈압이 정상이더라도 관리하지 않으면 어느 순간 콩팥 기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당신의 콩팥을 지키는 첫 걸음, 혈압 측정부터 시작해보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외식할 때도 콩팥을 지키는 식단 선택법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에너지음료, 당뇨병과 콩팥에 미치는 진짜 영향

에너지음료, ‘활력의 상징’인가 ‘대사질환의 시작’인가 하루가 짧고 피로가 누적될수록 손이 가는 음료가 있습니다. 바로 에너지음료입니다.광고에서는…

15시간 ago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일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3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3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3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