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은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건강에 매우 좋지만, 당뇨병 환자는 특히 혈당과 신기능 관리 측면에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 혈당지수(GI) | 구분 | 과일 사례 |
|---|---|---|
| ~55 이하 | 낮음 | 사과(38), 배(38), 딸기(40), 오렌지(42), 체리(20), 키위(50), 블루베리(33) |
| 56~69 | 중간 | 복숭아(56), 포도(59), 파인애플(66), 망고(60) |
| 70 이상 | 높음 | 수박(76), 바나나(70), 건포도(64), 말린 과일(70 이상), 과일주스(70 이상) |
※ 하루 총 과일 섭취량은 2~3회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 환자 중 특히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혈당 외에도 칼륨 수치를 주의해야 합니다. 신기능 저하시 칼륨 배설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 신장 기능(GFR) | 주의사항 및 권장법 |
| 정상 (≥90) | GI 낮은 신선한 과일 위주로 적정량 섭취 |
| 경도 감소(60~89) | GI 낮고, 칼륨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과일 섭취 권장 |
| 중등도 감소(30~59) | 칼륨이 높은 과일(바나나, 키위 등)은 제한적으로 섭취, 사과나 배 등 칼륨 낮은 과일 권장 |
| 고도 감소(<30) | 칼륨 함량 낮은 과일 위주로 소량만 허용. 필요시 의사 상담 후 제한적 섭취 |
| 과일 | GI 수치 | 칼륨 함량(100g 기준) |
| 사과 | 38 | 120mg |
| 배 | 38 | 120mg |
| 블루베리 | 33 | 77mg |
| 포도 | 59 | 130mg |
| 체리 | 20 | 130mg |
Q) 한국은 식사직후에 과일을 먹는 것이 식후디저트 문화가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한국에서 식후에 과일을 먹는 것이 일반적인 문화이긴 하지만, 당뇨병 환자나 당뇨병성 콩팥병증 환자에게는 식후 디저트로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꼭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