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은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건강에 매우 좋지만, 당뇨병 환자는 특히 혈당과 신기능 관리 측면에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혈당지수(GI) | 구분 | 과일 사례 |
---|---|---|
~55 이하 | 낮음 | 사과(38), 배(38), 딸기(40), 오렌지(42), 체리(20), 키위(50), 블루베리(33) |
56~69 | 중간 | 복숭아(56), 포도(59), 파인애플(66), 망고(60) |
70 이상 | 높음 | 수박(76), 바나나(70), 건포도(64), 말린 과일(70 이상), 과일주스(70 이상) |
※ 하루 총 과일 섭취량은 2~3회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 환자 중 특히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혈당 외에도 칼륨 수치를 주의해야 합니다. 신기능 저하시 칼륨 배설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신장 기능(GFR) | 주의사항 및 권장법 |
정상 (≥90) | GI 낮은 신선한 과일 위주로 적정량 섭취 |
경도 감소(60~89) | GI 낮고, 칼륨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과일 섭취 권장 |
중등도 감소(30~59) | 칼륨이 높은 과일(바나나, 키위 등)은 제한적으로 섭취, 사과나 배 등 칼륨 낮은 과일 권장 |
고도 감소(<30) | 칼륨 함량 낮은 과일 위주로 소량만 허용. 필요시 의사 상담 후 제한적 섭취 |
과일 | GI 수치 | 칼륨 함량(100g 기준) |
사과 | 38 | 120mg |
배 | 38 | 120mg |
블루베리 | 33 | 77mg |
포도 | 59 | 130mg |
체리 | 20 | 130mg |
Q) 한국은 식사직후에 과일을 먹는 것이 식후디저트 문화가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한국에서 식후에 과일을 먹는 것이 일반적인 문화이긴 하지만, 당뇨병 환자나 당뇨병성 콩팥병증 환자에게는 식후 디저트로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꼭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당뇨병 환자에게는 매끼 식사만큼이나 ‘음료 선택’이 중요합니다. 마시기 쉬워서 간과되기 쉽지만, 한 잔의 음료가 혈당을…
혈압 조절은 만성콩팥병(CKD)과 혈액투석 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인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얼마일까요?…
“고지혈증 약 먹고 나서 간이 안 좋아졌어요.”“근육이 아픈데, 혹시 스타틴 때문 아닐까요?”“스타틴 먹으면 당뇨 생긴다는데,…
“수면 부족은 단순히 피곤함의 문제가 아니라, 심장과 혈관 건강에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 왜 수면이 고혈압과…
HDL 콜레스테롤, 항상 좋은 걸까?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데노수맙(프롤리아)이란 무엇인가요? **데노수맙(프롤리아®, Prolia®)**은 뼈를 분해하는 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억제하는 RANKL 억제제입니다. 이 약물은 다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