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당뇨병콩팥병

당뇨병성 콩팥병증 환자를 위한 쉽게 읽는 식사 가이드

당뇨병 때문에 신장이 약해졌다면? 이제 식사도 조금 특별하게 바꿔야 할 때입니다. 이 글에서는 어려운 의학용어 대신,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당뇨병성 콩팥병증(DKD) 맞춤 식사법을 소개합니다. 실제 환자들이 어떻게 식단을 바꿨는지, 어떤 음식이 몸에 좋은지, 어떻게 요리하면 좋은지도 모두 담았어요.


✅ 핵심 원칙, 딱 5가지!

1️⃣ 옥살산과 렉틴 줄이기!

  • 왜 필요해요? 옥살산은 신장결석을 만들고, 렉틴은 장과 신장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 이런 채소는 OK: 양배추, 애호박, 브로콜리, 가지, 버섯, 오이
  • 이건 조심!: 시금치, 감자, 고구마, 비트, 근대
  • 단백질도 골라먹자: 생선, 닭가슴살, 두부, 계란흰자(좋음) / 완두콩, 강낭콩(주의)

2️⃣ 단백질은 몸무게에 맞게!

  • 초기 DKD: 체중 1kg당 0.8g
  • 심한 신부전(DKD 4~5기): 체중 1kg당 0.6g
  • 투석 중이라면: 체중 1kg당 1.2g 필요해요

👉 쉽게 실천하는 팁:

  • 단백질은 손바닥 크기만큼
  • 계란흰자, 두부, 흰살생선을 주로
  • 하루 한 끼는 ‘채소만 식사’ 도전!

3️⃣ 칼륨·인 조절은 신장 상태 보고 결정!

🔍 칼륨대사는 언제부터 문제가 될까?

사구체여과율이 30 mL/min 아래로 떨어지면 칼륨 배출이 어려워지고 고칼륨혈증 위험이 생겨요.

▶️ eGFR 60 이상: 식사 제한 없이 OK

▶️ eGFR 30~59: 조심해야 해요

  • 칼륨: 하루 2,000~2,500mg / 인: 하루 800~1,000mg 이하
  • 좋은 음식: 삶은 양배추, 오이, 애호박 / 백미, 보리
  • 주의할 음식: 바나나, 감자, 시금치 / 현미, 우유, 견과류

▶️ eGFR 15~29: 엄격하게 제한!

  • 칼륨: 하루 2,000mg 이하 / 인: 하루 800mg 이하

▶️ eGFR 15 이하: 말기 신부전 (투석 고려)

  • 칼륨: 하루 1,500~2,000mg / 인: 하루 600~800mg 이하

4️⃣ 혈당 안정, 저GI 식품으로!

  • 추천: 보리밥, 불린 귀리죽
  • 주의: 흰쌀밥, 밀가루 음식은 혈당 올려요

5️⃣ 저염식으로 혈압까지 잡자!

  • 나트륨 하루 2g 이하
  • 가공식품은 피하고, 국물은 줄이세요

✅ 실제 환자들이 알려주는 진짜 팁

🧑‍⚕️ 사례 1: 58세 남성, DKD 4기

  • 채소는 꼭 삶아 먹기!
  • 밥은 백미와 보리 섞어 먹기
  • 단백질은 두부, 생선 위주, 손바닥만큼
  • 6개월 후 혈액검사에서 칼륨·인 수치 정상화!

👩 사례 2: 63세 여성, DKD 3기

  • 시금치, 감자 대신 애호박, 양배추로 교체
  • 외식은 샐러드 중심, 국물은 적게
  • 3개월 후 혈중 칼륨 수치 안정됨

🔖 일상 실천 팁!

  • 계란흰자 2개 + 두부 100g 기준으로 단백질 체크
  • 외식 시엔 드레싱 적은 샐러드, 소스는 따로!
  • 간식은 사과, 배, 무가당 요거트가 좋아요
  • 라면은 NO! 가공식품 줄이기

✅ 출처 및 참고 가이드

  • KDIGO 2020 가이드라인
  • KDOQI 2020 신장병 영양지침
  • Diabetes Care (2022)
  • WHO (2021) 나트륨 제한 권고안

당뇨병성 콩팥병증이 있다고 너무 걱정 마세요. 식단 하나하나가 신장과 혈당을 지키는 힘이 됩니다. 중요한 건 ‘내 상태에 맞는 식사’를 알고, 꾸준히 실천하는 거예요. 이 글을 참고해 매일 식사에 한 가지라도 적용해보세요. 몸은 정직하게 반응할 거예요!


사회적 요인이 신장 이식에 미치는 영향: 개인과 지역 수준의 불평등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1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2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3일 ago

고령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공유의사결정: ‘생존’보다 ‘피로 없는 삶’을 선택하는 이유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