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심장병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심방세동 많이 발생할까

심방세동, 영국의 의사인 리차드 브라이트는 1827년에 처음으로 소변의 알부민뇨와 신장 질환의 발견을 이야기했습니다. 이후에 오랜동안 신장질환은 브라이트병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현재 만성콩팥병의 유병률은 8~16% 이고 64세 이상은 약 36%까지 올라갑니다. 대한민국의 만성콩팥병 유병률은 13.8% 입니다.

심방세동은 인체에 해가 없는 심계항진 (심장이 뛰는 것이 느껴져 불쾌한 기분이 드는 증상) 부터 뇌졸중 및 사망으로 까지 이를 수 있는 흔한 심장 부정맥입니다.

심방세동 심전도 소견, 심계항진 증상이 많습니다.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심방세동의 발생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크게 염증, 레닌 앤지오텐신계 활성화, 전해질이상, 빈혈, 요독증이 있습니다.


1. 염증

▶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염증성 지표인 C-반응성 단백질, 인터루킨-6, 피르니노겐 등의 증가가 심방세동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만성콩팥병에서 NLRP3(inflammasome – 세포내의 고분자 복합체, 세포손상에 반응)는 신장손상과 관련되어 활성화되면 염증을 유발합니다. 또한 NLRP3 활성화는 ROS(활성산소, 생물체내에서 생성되는 산호화합물로 세포손상)의 생성과 관련있습니다.

▶ 만성콩팥병에서 전신적인 염증이 심방의 섬유화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 섬유화로 인해 심방세동이 발생합니다.

2. 레닌 앤지오텐신계 활성화

▶ 레닌 앤지오텐신계는 수분과 나트륨의 균형을 조절하여 혈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나트륨과 물을 재흡수하고 혈압을 유지합니다.

▶ 혈장 레닌의 증가는 레닌 앤지오텐신계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다량의 나트륨과 수분 보유로 이어져 체액의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고, 이어서 심장에 부하를 주어 심장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심방세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빈혈

▶ 빈혈로 인해 산소공급이 부족해지면 심근의 활동이 저하되어, 이로 인해서 심장의 수축과 이완이 감소하고, 말초혈관 이완을 통해 좌심실의 후부하가 감소하게 됩니다.

4. 심근의 칼슘축적

▶ 만성콩팥병 환자에서는 심근세포에 칼슘이 축적되어 근육세포의 기능이상을 가져올 수 있고, 근세포의 세망에서 칼슘 방출이 지속되면 심방세동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전해질 장애

▶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전해질의 불균형과 저칼륨혈증의 문제는 심방세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Nelsonet al. 후향적코호트 메디케어
55,962명
2012년 만성콩팥병 단계별 심방세동
Watanabeet al. 전향적코호트 일본인 일반인
234,818명
2009년 사구체여과율 30-50 ml/min: 심방세동 발생 위험비 1.32 (1.08 ~ 1.62)
사구체여과율 < 30: 심방세동 발생 위험비 1.47 (0.89 ~ 2.77)
심방세동 환자에서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비 1.77 (1.50 ~ 2.10)
심방세동 환자에서 단백뇨 발생 위험비 2.20 (1.92 ~ 2.52)
Picciniet al. 코호트 비판막성 심방세동
13,559명
2013년 ROCKET 연구에서 개발된 위험점수
Guo et al. 코호트 심방세동
617명
2013년 시작점, 6개월, 12개월에서 사구체여과율을 측정해서
뇌졸중, 주요 출혈 및 사망의 임상사건 확인
Airyet al. 만성콩팥병
62,459명
2018년 심방세동이 있는 경우 사망위험이 23% (18 ~ 29%) 더 높았고,
심혈관위험도 45% (31 ~ 61%) 더 높았습니다.

Cureus. 2022;14(8): e27753 인용


1. 만성콩팥병의 단계가 올라갈 수록  심방세동의 발생률도 증가합니다.

2. 콩팥기능의 장애는 심방세동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심방세동 역시 콩팥병의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3. 콩팥기능은 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의 강력한 예측인자 입니다. 

4. 콩팥기능의 악화는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5.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있는 경우 사망위험이 높고, 심혈관 위험도 더 높았습니다.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잠을 잘 자니 혈압이 떨어졌어요” – 수면 개선으로 고혈압을 조절한 70대 환자의 이야기

✅ 진료실 이야기: "잠을 잘 자니, 혈압이 내려갔어요!" 70대 고혈압 환자 A씨는 매년 여름이면 아침…

3일 ago

계속되는 피로감, 콩팥이 보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크레아티닌과 사구체여과율(eGFR)의 중요성

😴 단순한 피로가 아닐 수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철, 누구나 피곤하고 지치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피로가…

4일 ago

무더위 속 밤잠 부족, 콩팥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여름이 되면 많은 분들이 겪는 불청객, 바로 열대야입니다. 해가 져도 25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밤의 기온은…

1주 ago

콩팥병 환자의 여름철 여행, 어떻게 준비할까요

👋 여행, 콩팥병 환자에게도 가능합니다! 여름 휴가철, 콩팥병 환자도 충분히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단,…

2주 ago

콩팥 건강을 위한 여름철 간식 선택법

✅ 여름철 간식 선택 시 주의할 점 항목 주의사항 수분 보충 갈증 해소를 위해 당분이…

2주 ago

저염 고추장: 당뇨병·콩팥병 환자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을까?

고추장 없이 밥을 먹기 어려운 분들 많으시죠?특히 쌈 싸먹을 때, 나물무침할 때, 비빔밥 한 그릇에…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