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하루를 여는 음료 중 하나가 커피입니다. 특히 아메리카노와 라떼는 가장 인기 있는 두 종류입니다. 하지만 당뇨병이나 만성콩팥병(이하 만성콩팥병) 환자에게는 매일 마시는 이 한 잔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둘 중 무엇이 더 건강할까요? 라떼를 마셔도 될까요? 꼭 마시고 싶다면 어떻게 마셔야 할까요? 오늘은 실제 사례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커피 선택 팁을 소개합니다.
구분 | 아메리카노 (240ml 기준) | 라떼 (240ml 기준) |
---|---|---|
칼로리 | 5 kcal | 120~190 kcal (우유 종류에 따라 다름) |
탄수화물 | 0~1g | 10~18g |
단백질 | 0g | 6~8g |
지방 | 0g | 5~9g |
설탕 | 없음 | 설탕 추가 시 10~20g 이상 가능 |
칼슘 | 매우 적음 | 200~300mg (저지방우유 기준) |
**당뇨병·콩팥병 환자에게 중요한 포인트는 “당분”과 “단백질, 인, 칼륨”**입니다.
아메리카노는 GI가 거의 0으로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반면 라떼는 우유의 당분(유당) 때문에 혈당을 조금 올릴 수 있습니다.
김모 씨(49세, 당뇨병 초기)는 매일 아침 라떼를 마셨는데, 식후 혈당이 180~200까지 치솟았습니다. 그러나 무가당 두유로 변경 후 140 이하로 안정화되었습니다.
TIP
당뇨 환자에게는 무가당, 저지방 또는 식물성 우유(예: 아몬드우유, 두유) 라떼가 추천됩니다.
시럽은 무조건 ‘No’!
콩팥이 나쁘면 우유 속 ‘인’과 ‘칼륨’, 단백질도 제한이 필요합니다. 라떼 1잔의 우유에 인 150mg, 칼륨 350~400mg, 단백질 8g이 들어있을 수 있습니다.
정모 씨(62세, 3기 만성콩팥병)는 하루 2잔의 라떼를 마셨고 혈중 칼륨이 5.7까지 올라 신장내과에서 우유 제한을 권유받았습니다. 이후 아메리카노로 바꾸고 칼륨 수치가 안정되었습니다.
TIP
라떼는 주 2~3회 이하, 저칼륨 저인 우유(예: 저인 분유나 아몬드밀크)를 사용하면 더 안전합니다.
인산염 보충제(피로인산나트륨 등)가 들어간 시럽 첨가는 피해야 합니다.
대상 | 하루 카페인 제한 |
---|---|
일반 성인 | 400mg 이하 |
고혈압, 만성콩팥병 환자 | 200mg 이하 권장 |
아메리카노 한 잔(샷 2개)은 약 150~180mg, 라떼 한 잔은 약 75~100mg 수준입니다.
TIP
콩팥 질환자는 특히 카페인으로 인한 이뇨작용에 주의해야 하며,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야 합니다.
무가당, 저지방 우유 선택: 지방과 당분을 줄여 혈당과 체중 관리에 도움.
아몬드, 두유, 귀리우유로 대체: 인, 칼륨이 상대적으로 낮음.
시럽은 절대 넣지 않기: 설탕 10g=당 2.5 작은 술! 혈당 폭등 유발.
간식 대용으로 생각하기: 공복 혈당이 낮은 아침에 간식 겸 라떼.
커피양은 그대로, 우유양은 반으로: 1/2샷 라떼 or 마키아토 형태로 조절.
아메리카노는 기본적으로 더 건강한 선택입니다. 특히 혈당 영향과 인·칼륨 제한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더욱 안전합니다.
그러나 라떼를 마시고 싶다면, 우유 종류, 양, 첨가물, 마시는 타이밍을 조절해 섭취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무조건 금지’가 아니라, ‘조절 가능한 습관’이 건강을 지키는 열쇠입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커피는 뗄 수 없는 존재입니다. 특히 라떼의 부드럽고 포근한 맛은 때로는 위로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당뇨병이나 콩팥병 환자도 커피를 즐기며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올바른 정보와 조절된 습관입니다.
✅ 진료실 이야기: "잠을 잘 자니, 혈압이 내려갔어요!" 70대 고혈압 환자 A씨는 매년 여름이면 아침…
😴 단순한 피로가 아닐 수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철, 누구나 피곤하고 지치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피로가…
여름이 되면 많은 분들이 겪는 불청객, 바로 열대야입니다. 해가 져도 25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밤의 기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