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약물콩팥병

신장 기증 후 신장기능 저하 위험과 기증자 관리법에 대한 종합 안내

살아있는 사람으로부터의 신장 기증은 신부전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최근 뉴질랜드에서 진행된 연구는 신장 기증 후 신장 기능 저하나 기타 건강 문제 발생 위험이 매우 낮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한국과 미국, 유럽의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론이 나왔으며, 기증자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신장 기증을 고려하는 분들은 건강한 신장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젊고, 기존 질환이 없으며 신장 피질 부피가 충분히 큰 분들이 좋습니다. 기증 후에는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생활습관 관리를 통한 신장기능 유지가 중요합니다.


신장 기증은 누가 하는 것이 좋을까요?

신장 기증에 적합한 분은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신장 기능이 정상적이며 기증 전 철저한 건강검진을 통해 위험 요인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 사람입니다. 특히 신장 피질의 부피가 충분히 크고, 기존에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이 없는 젊은 성인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면 기증 후 장기적으로 신장 기능이 잘 유지됩니다.


신장 기증자의 건강 관리법

신장 기증자는 장기적인 건강 유지를 위해 다음 사항들을 잘 지켜야 합니다.

  •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진과 건강검진
  • 저염식 및 균형 잡힌 식습관 유지
  • 꾸준한 유산소 운동과 체중 관리
  • 혈압과 혈당 관리
  • 전문가가 운영하는 기증자 맞춤 클리닉을 이용한 지속적인 건강 관리

기증자 맞춤 클리닉은 수술 전후의 관리, 장기적인 건강 모니터링, 그리고 심리사회적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공합니다.


뉴질랜드 연구 방법

뉴질랜드의 연구는 1988년부터 2018년까지 30년 동안 신장을 기증한 1339명의 건강 데이터를 추적 분석한 연구입니다. 주된 연구 목표는 신장 기증 후 신부전, 사망률, 심혈관 질환, 수술 후 초기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하는 것이었습니다.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뉴질랜드 보건부, ANZDATA 레지스트리 등을 연계하여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이루어졌습니다.


뉴질랜드 연구 결과 상세

뉴질랜드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면, 전체 1339명의 기증자 중:

  • 신부전 발생률은 연간 10,000명당 3명(총 5명, 0.4%)이었으며, 주요 원인은 당뇨병성 신장질환과 사구체신염이었습니다.
  • 사망률은 기증 후 10년 생존율이 99%, 30년 생존율은 88.7%로 매우 높았습니다.
  • 심혈관 질환 발생률도 낮았으며, 10,000인년당 약 11.6명 수준이었습니다. 남성에서 심혈관 사건 발생 위험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 수술 후 90일 이내의 합병증은 22%에서 발생했으나, 심각한 합병증은 5%에 불과했습니다.


뉴질랜드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이 연구의 결론은 신장 기증 후 신부전이나 심혈관 질환 같은 장기적인 합병증의 위험이 낮다는 것입니다. 기증자의 연령이 많거나 당뇨, 고혈압 등의 질환이 있으면 위험이 다소 증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건강한 신장 기증자의 장기 건강 위험은 높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기증자에게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사후 관리가 중요합니다.


한국 및 해외 연구의 유사한 결과

고령 기증자의 신기능 저하: 중앙대학교병원 조은아 교수와 서울대학교병원 민상일 교수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신장을 기증한 생체 기증자 1,07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고령의 신장 기증자들은 젊은 기증자들에 비해 기증 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eGFR)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술 전 더 큰 신장 피질 부피를 가진 기증자들은 신장 피질 부피가 작은 기증자보다 eGFR 감소가 유의하게 적어, 상대적으로 신장 기능 감소가 덜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결론

종합적으로 볼 때, 신장 기증 후 장기적인 신장기능 저하는 적절한 선별 검사와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기증자의 건강 상태와 개인의 신장 피질 부피 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가 기증자의 장기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기증자는 정기 검진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철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ference

  • Chan et al. (2025), Outcomes of Living Kidney Donors Following Donor Nephrectomy in Aotearoa New Zealand. Kidney International Reports.

콩팥병 환자의 미량영양소 관리: 결핍과 과다 섭취의 위험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에너지음료, 당뇨병과 콩팥에 미치는 진짜 영향

에너지음료, ‘활력의 상징’인가 ‘대사질환의 시작’인가 하루가 짧고 피로가 누적될수록 손이 가는 음료가 있습니다. 바로 에너지음료입니다.광고에서는…

6시간 ago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일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3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