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이식 환자의 혈압 목표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입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이 신장 이식 후 생존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지만, 혈압을 어느 수준까지 낮춰야 하는지에 대한 확실한 임상 근거가 부족합니다. 신장 이식 후 최적 혈압을 유지하는 것은 심혈관 질환 예방뿐만 아니라 이식 신장의 장기적인 생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2017년 미국심장학회(AHA) 및 미국심장협회(ACC)에서 고혈압 기준을 ≥130/80 mmHg로 강화한 이후, 신장 이식 환자에서도 보다 엄격한 혈압 관리가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습니다.
최근 발표된 **Collaborative Transplant Study(CTS) 데이터(2025, Speer et al.)**는 62,556명의 신장 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혈압 단계별 이식 신장 생존율 및 사망률을 분석하여, 보다 구체적인 목표 설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본 글에서는 연도별 연구들을 정리하고, 신장 이식 환자의 최적 혈압 목표를 탐색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 연도 | 연구/가이드라인 | 내용 | 한계/특징 | 
|---|---|---|---|
| 1998 | Opelz et al. | 고혈압(≥140/90 mmHg)이 신장 이식 생존율 감소와 연관됨 | 오래된 연구, 혈압 목표 최적화 분석 부족 | 
| 2000 | Mange et al. | 고혈압이 이식 신장 실패 위험을 증가시킴 | 혈압 강하제 사용 여부 등 변수 통제 미흡 | 
| 2015 | SPRINT | 일반 고혈압 환자에서 <120 mmHg 목표 시 심혈관 이점 증가, AKI 발생률 증가 | 신장 이식 환자 대상 아님, 외삽 적용 가능성 제한 | 
| 2017 | ACC/AHA 가이드라인 | 고혈압 기준 ≥130/80 mmHg, 신장 이식 환자에도 엄격한 목표 제안 | 신장 이식 환자 특화 근거 부족 | 
| 2021 | KDIGO 가이드라인 | 목표 혈압 <130/80 mmHg 권고 | RCT 근거 없음, 전문가 의견에 기반 | 
| 2023 | Kim et al. |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이 이식 신장 생존율을 감소시킴 | 후향적 연구, 인과관계 불확실 | 
| 2024 | ESC 가이드라인 | 신장 이식 환자 별도 권고 없음, 일반 기준 <140/90 mmHg 유지 | 신장 이식 환자 특이성 미반영 | 
| 2025 | Speer et al. (CTS 연구) | 62,556명 대상 연구, <130/80 mmHg는 안전, 단계 1(130-139/80-89 mmHg)은 11%, 단계 2(≥140/90 mmHg)는 55% 이식 신장 실패 위험 증가 | 후향적 연구, 단일 혈압 측정 사용, RCT 아님 | 
(a) Good Outcome 그룹:
(b) Poor Outcome 그룹:
신장 이식 환자의 혈압 목표는 최근 연구를 통해 점차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종합하면, <130/80 mmHg가 합리적인 목표로 보이며, ≥140/90 mmHg는 신장 생존율에 명백한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강력한 혈압 조절(<120/80 mmHg)이 실제로 신장 이식 환자에게 유익한지 여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향후 RCT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확실한 혈압 목표 설정이 가능할 것입니다.
에너지음료, ‘활력의 상징’인가 ‘대사질환의 시작’인가 하루가 짧고 피로가 누적될수록 손이 가는 음료가 있습니다. 바로 에너지음료입니다.광고에서는…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