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L 콜레스테롤이 높아도 위험할 수 있다? 당뇨병성 콩팥병증과의 관계

HDL 콜레스테롤, 항상 좋은 걸까?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 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된 중국 저장대학교 진화병원의 연구는 이와는 다른 관점을 제시합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 936명을 대상으로 HDL 수치와 당뇨병성 콩팥병증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HDL 수치가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경우 모두 당뇨병성 콩팥병증 위험이 증가하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여성 환자에게서 두드러졌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HDL 수치와 콩팥병 위험의 U자형 관계

연구에서는 HDL 수치를 아래와 같이 세 구간으로 구분하여 당뇨병성 콩팥병증 발생률과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 < 36.7 mg/dL (0.95 mmol/L 미만): 위험 77% 증가

  • 36.7–59.6 mg/dL (0.95–1.54 mmol/L): 가장 낮은 위험

  • > 59.6 mg/dL (1.54 mmol/L 초과): 위험 128% 증가

즉, HDL-C 수치는 ‘높을수록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며, **너무 높거나 너무 낮으면 오히려 콩팥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U자형 관계’**가 확인된 것입니다​


여성 당뇨병 환자에서 더 위험한 고HDL

이 연구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여성 환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남성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습니다.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제시합니다:

  •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은 HDL 수치와 기능에 영향을 줌

  • 여성은 HDL 입자의 조성이나 기능적 반응이 다를 수 있음

  • 폐경기 이후 지질 대사 변화가 HDL 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음


실제 사례: HDL이 높아 ‘건강하다고 생각했던’ 환자

사례: 55세 여성 C씨는 제2형 당뇨병을 6년째 앓고 있으며, 혈당과 혈압은 안정적이고 체중도 정상 범위였습니다. 그녀는 “HDL이 65 mg/dL이 넘는다”며 자랑스러워했지만, 정기검진에서 UACR이 80 mg/g, **사구체여과율은 58 mL/min/1.73㎡**로 낮아졌습니다. 신장 전문의는 초기 당뇨병성 콩팥병증으로 판단하고 생활습관 개선과 약제 조절을 시작했습니다.


왜 HDL이 높으면 위험할까?

  1. 기능이 저하된 HDL의 존재

    • 당뇨나 만성염증 상태에서는 HDL이 산화되어 항염 작용을 상실하거나 오히려 유해 작용을 할 수 있음

  2. 약물 또는 유전적 원인으로 인한 비정상적 HDL 상승

    • 니아신, 피노피브레이트 등은 HDL을 상승시키지만, 실질적인 콩팥 보호 효과는 불분명

  3. 지나친 HDL은 심혈관계 위험 증가와 연관되기도 함

    • 최근 대규모 연구에서도 HDL이 너무 높으면 심혈관 질환 및 사망 위험이 오히려 증가한다고 보고됨


임상에서의 실천 포인트

항목 권고
HDL 수치 해석 36.7–59.6 mg/dL (0.95–1.54 mmol/L) 구간이 가장 안전
콩팥 기능 모니터링 UACR, 사구체여과율 정기 평가 권장
약물 고려 HDL 상승약 사용 시 콩팥 상태 확인 필수
생활습관 운동, 체중 조절, 저탄수 식이 등이 HDL 기능 향상에 도움

HDL에 영향을 주는 대표 약물

약물명 효과 주의사항
페노피브레이트 (Fenofibrate) HDL↑, TG↓ 신장기능 감소 가능성
니아신 (Niacin) HDL↑ 간기능 악화, 혈당 상승 유발 가능
스타틴류 (Atorvastatin 등) LDL↓, HDL 소폭↑ 콩팥 보호 효과 있음
피오글리타존 (Actos) HDL↑ 체중 증가, 부종 가능

요약 정리

  • HDL 콜레스테롤은 36.7–59.6 mg/dL 구간이 이상적

  • 여성 당뇨병 환자는 HDL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당뇨병성 콩팥병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

  • HDL 수치만으로 건강을 판단하지 말고, 기능과 콩팥 상태를 함께 고려

  • 정기적인 사구체여과율 및 UACR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 및 대응 필요


참고 문헌 (Reference)

Wang H, Wu J, Lin M, Hu Y, Ma Y. High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ay increase the risk of diabetic kidney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cientific Reports. 2024;14(15362).


당뇨병 환자를 위한 균형 잡힌 식사법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7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2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4일 ago

고령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공유의사결정: ‘생존’보다 ‘피로 없는 삶’을 선택하는 이유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