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당뇨병

설탕, 많이 먹으면 당뇨병이 생긴다고?

설탕을 많이 먹어서 당뇨병이 생긴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볼 수도 있는데, 아닐 수도 있습니다.

먼저 당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과일의 과당, 꿀과 같은 천연당이 있고, 자연에 있는 물질을 정체하여 만든 첨가당인 설탕, 액상과당, 올리고당이 있습니다.

이 중에 첨가당인 설탕은 효소에 의해서 포도당, 갈락토스, 과당의 3개로 바뀌게 되고, 이 중에 포도당이 혈액속으로 들어가면 혈당이 오르게 됩니다. 따라서 설탕 뿐만 아니라 포도당을 만들 수 있는 모든 음식이 당뇨병 발생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맛은 혀와 입 안의 미뢰에서 감지됩니다.

우리 혀에는 약 1만 개의 미뢰(맛봉오리)가 있으며, 각 미뢰에는 50~100개의 미세한 맛 세포가 존재합니다.

단맛과 감칠맛을 주는 맛은 3개의 T1R 유전자 군에 의해 생성되는 T1R1, T1R2, T1R3 로 불리는 수용체 단백질에 의해 감지하게 됩니다.

설탕과 같은 단맛 물질이 입 안에 들어오면 이들 단백질에 결합합니다. 이 결합은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을 시작하여 뇌로 신경 전달 물질을 보냅니다. 뇌는 이 신호를 받아 단맛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설탕이 몸에 주는 영향

긍정적인 영향

1. 에너지원: 단맛을 내는 음식은 우리 몸에 중요한 에너지원입니다. 뇌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을 주로 사용합니다.

2. 기분개선: 단맛을 느끼면 도파민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이 분비되어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감을 느끼게 됩니다.

부정적인 영향

1. 비만: 과도한 섭취는 비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혈당 수치를 급격히 상승시키고, 이는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지방 축적을 유발합니다.

2. 당뇨병: 과도한 섭취는 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혈당 조절 기능이 저하되면 당뇨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충치: 설탕은 충치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4. 심혈관 질환: 과도한 섭취는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혈당 수치 상승, 혈압 상승, 중성지방 증가 등으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됩니다.

건강한 설탕, 단맛 섭취를 위한 몇 가지 팁

가공식품 섭취 줄이기: 가공식품에는 많은 양의 설탕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고 과일, 채소, 통곡물 등 자연적인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료수 주의: 탄산음료, 과일주스, 스포츠 음료 등에는 많은 양의 설탕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물을 주로 마시고, 음료수를 선택할 때는 설탕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요즘 학생들이 많이 마시는 핫식스는 한 캔에 당류가 30g 이나 있습니다.

천연 감미료 활용: 설탕 대신 천연 감미료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스테비아, 로즈마리 등이 있습니다.

그러면 당(설탕, 과당, 액상과당, 엿기름 등의 자유당) 은 하루에 얼마나 섭취할 수 있나요?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체 에너지 섭취량의 10% 이하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하루 섭취량을 남성 40g, 여성 30g 이하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 탄산음료, 과일쥬스, 스포츠음료, 사탕, 쿠키, 아이스크림, 초콜렛


단맛은 우리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건강에 해롭습니다. 건강한 단맛 섭취를 위해 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고, 천연 감미료를 활용하며,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더 싱겁게 먹어야 한다고요?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거품뇨와 단백뇨: 걱정할 필요 없는 정상 현상과 주의해야 할 신호

  1. 소변에 거품이 생기면 신장이 나빠진 걸까요? 최근 병원 진료실에서 “선생님, 소변에 거품이 너무…

11시간 ago

만성콩팥병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 섭취, 인종과 환경이 만드는 차이

1. 들어가며: 소금은 줄이고 칼륨은 조심하라? 그 오래된 진리의 재검토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을 앓고…

2일 ago

투석 환자를 위한 지지적 치료(Supportive Care) — 생명을 넘어 삶의 질을 돌보다

1. 투석 환자의 삶, 치료만으로 충분할까? 혈액투석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계로 피를 정화하는 행위가 아니다.…

2일 ago

남성 당뇨병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 신장 건강을 지킨다?

1. 테스토스테론, 단순한 남성호르몬 이상의 역할 테스토스테론은 흔히 ‘남성성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혈당 조절,…

2일 ago

단백뇨 환자를 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 CKD 단계별 식단 조절법

단백뇨, 단백질이 새고 있다는 경고 단백뇨는 콩팥의 여과막(사구체)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상태입니다.단백질은 우리 몸에…

3일 ago

고령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공유의사결정: ‘생존’보다 ‘피로 없는 삶’을 선택하는 이유

1. 고령화 시대, 치료 목표의 전환 1990년 이후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전 세계 유병률은…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