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당뇨병

소금섭취 당뇨병 : 연구 결과와 예방 방법

소금 섭취와 건강의 연관성

소금섭취 당뇨병, 소금은 우리 몸의 균형 유지와 생리적 기능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최근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연구는 음식에 소금을 자주 추가하는 습관제2형 당뇨병(T2D) 발병 위험 간의 연관성을 밝혔습니다. 소금섭취 당뇨병 관계


연구 주요 내용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40만 명 이상의 참가자를 약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소금 섭취 빈도와 당뇨병 위험
    • 음식을 “가끔” 소금으로 간을 맞춘 사람은 당뇨병 위험이 11% 증가
    • “항상” 소금을 추가한 사람은 28% 증가

    위험비(HR)

    • 가끔 첨가: 1.11
    • 보통 첨가: 1.18
    • 자주 첨가: 1.28
  2. 체지방과 염증 반응이 매개 요인
    • 체지방 증가는 당뇨병 위험 증가의 약 **40%**를 차지.
    • **염증(CRP)**은 위험 증가의 약 **9%**에 영향을 미침.
  3. 독립적 위험 요인
    • 나이, 성별, 소득, 흡연, 음주 등 다른 생활습관 요인을 통제하더라도 소금을 자주 첨가하는 행동은 당뇨병 위험과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음.

소금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

  • 체중 증가와 체지방 축적: 소금 섭취는 체지방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염증 반응 유발: 과도한 염분은 몸에 염증 반응을 촉진하며, 이는 당뇨병뿐 아니라 심혈관 질환 위험도 높입니다.
  • 장기적인 나트륨 과다 섭취: 음식을 짜게 먹는 습관은 장기적으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소금 섭취를 줄이는 실생활 실천법

  1. 소금을 덜 추가하는 습관
    식탁에서 소금통을 사용하는 빈도를 줄이고, 음식을 간할 때 허브나 향신료를 활용해 맛을 내는 것을 연습하세요.
  2. 나트륨 함량 낮은 식품 선택
    가공식품을 고를 때 나트륨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택하고, 라벨을 확인하세요.
  3. 정기적인 건강 체크
    고혈압, 당뇨병 등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적절한 식습관과 치료 계획을 세우세요.

결론: 소금 섭취 당뇨병 연관성을 기억하세요

음식에 소금을 자주 추가하는 습관은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소금을 줄이는 간단한 행동 변화로도 당뇨병과 관련된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소금 섭취를 줄이고,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해 보세요.

콩팥건강정보센터

Recent Posts

당뇨병에 좋은 음료 vs 피해야 할 음료, 무엇이 다를까?

당뇨병 환자에게는 매끼 식사만큼이나 ‘음료 선택’이 중요합니다. 마시기 쉬워서 간과되기 쉽지만, 한 잔의 음료가 혈당을…

2일 ago

한국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 7만 명 분석으로 본 생존율과의 관계

혈압 조절은 만성콩팥병(CKD)과 혈액투석 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인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혈압은 얼마일까요?…

3일 ago

스타틴, 오해와 진실: 간 손상? 근육통? 당뇨? 고령자 사용?

“고지혈증 약 먹고 나서 간이 안 좋아졌어요.”“근육이 아픈데, 혹시 스타틴 때문 아닐까요?”“스타틴 먹으면 당뇨 생긴다는데,…

4일 ago

“잠이 부족하면 혈압이 오른다?” – 수면시간과 고혈압의 놀라운 연관성

“수면 부족은 단순히 피곤함의 문제가 아니라, 심장과 혈관 건강에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 왜 수면이 고혈압과…

5일 ago

HDL 콜레스테롤이 높아도 위험할 수 있다? 당뇨병성 콩팥병증과의 관계

HDL 콜레스테롤, 항상 좋은 걸까?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6일 ago

데노수맙(프롤리아) 사용 시 투석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저칼슘혈증: 원인, 사례, 예방법

데노수맙(프롤리아)이란 무엇인가요? **데노수맙(프롤리아®, Prolia®)**은 뼈를 분해하는 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억제하는 RANKL 억제제입니다. 이 약물은 다음과…

1주 ago